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주(詩酒)[한별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시로 희롱하며 술을 즐김
시주(詩酒)[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와 술.
시주(詩酒)[쳔지가 6 페이지 / 전적]
시와 술.
시주(詩酒)[쥭매곡(쥭곡) 2 페이지 / 전적]
시와 술.
시주님네[착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이나 절에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이 시주(施主)이고, 시주한 사람이 시주님. 곧 불교에서 중이 신도를 일컫는 일반적인 호칭
시주머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6 페이지 / 전적]
「詩囊」―唐書 李賀傳에 「李賀가 작은 奚奴로 하여금 묵은 錦囊을 짊어지고 따르게하여 詩를 얻으면 錦囊속에 投入했다」하였는데 이를 빌려 쓴것임
시주풍류(詩酒風流)[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와 술로 운치 있게 노는 일
시주풍류(詩酒風流)[기원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며 고풍스레 노는 일.
시주흥취(詩酒興趣)[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와 술로 흥을 북돋는 취미를 말함.
시주흥취(詩酒興趣)[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와 술로 흥을 북돋는 취미를 말함.
시중[안심경찰가 5 페이지 / 전적]
옆에 있으면서 여러 가지 심부름을 하는 일.
시중(侍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1 페이지 / 전적]
고려 초기에, 서경에 설치한 낭관(郎官)의 으뜸 벼슬을 이른다.
시중(時中)[경화가(警和歌) 8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가짐으로 상황에 알맞게 실천하는 것.
시중(時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그 당시의 사정에 알맞음. ‘시의(時宜)’와 같은 의미.
시중(時中)[경화가(警和歌) 8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가짐으로 상황에 알맞게 실천하는 것.
시중(時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그 당시의 사정에 알맞음. ‘시의(時宜)’와 같은 의미.
시중(時中)[몽즁운동가 4 페이지 / 전적]
때에 따라 중용(中庸)을 알맞게 행하는 것.
시중이자(時中二字)[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5 페이지 / 전적]
시중(時中)이란 두 글자.
시중천자(詩中天子)[로인가 7 페이지 / 전적]
시(詩)의 황제. 당나라 때의 시인인 이태백을 일컫는 말.
시중천자(詩中天子)[자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짓는 데 으뜸인 사람. 곧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이백(李白)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