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시중천자(詩中天子)[잣치가라(치라) 28 페이지 / 전적]

시짓는 데 으뜸인 사람.곧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이백(李白)을 말함.

시중천자(詩中天子)[소상팔경가 13 페이지 / 전적]

시짓는 데 으뜸인 사람.곧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이백(李白)을 말함.

시중천자(詩中天子)[자치가 14 페이지 / 전적]

시짓는 데 으뜸인 사람.곧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이백(李白)을 말함.

시중천자이태백(詩中天子李太白)[벽천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제일의 시인 이태백.

시중행이(時中行而) 도덕(道德)일세[경화가(警和歌) 31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가짐으로 상황에 알맞게 실천하는 것이 도덕임.

시중행이(時中行而) 도덕(道德)일세[경화가(警和歌) 31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가짐으로 상황에 알맞게 실천하는 것이 도덕임.

시쥬명[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시주명창(詩酒名唱). 시를 잘 짓고 술을 잘 먹고, 노래를 잘하는 사람.

시지(試紙)[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시험지.

시지견기(時至見機)[이기심성경(理氣心性經) 17 페이지 / 전적]

때가 되어 기회를 엿봄.

시지기화(時至氣和)[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3 페이지 / 전적]

온화한 기운이 도래하는 때.

시지말고[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재지 말고.

시지말고[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재지 말고.

시지불견(示之不見)[교훈가 3 페이지 / 전적]

보여도 눈여겨 보지 않음.

시지불견(視之不見)[론학가권지일 13 페이지 / 전적]

보아도 보이지 않음.

시지불견(視之不見)[론학가권지일 13 페이지 / 전적]

보아도 보이지 않음.

시지불견(視之不見)[창덕가2 78 페이지 / 전적]

보아도 보이지 않음.본 것에 개의치 않음.

시지불견(視之不見)[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보아도 보이지 않음.본 것에 개의치 않음.

시직[팔역가(八域歌) 49 페이지 / 전적]

연안인, 조선 문인

시직(侍織)[옥셜화답 13 페이지 / 전적]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직책.

시집[媤宅][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편의 집안. 시댁은 시집을 높여 부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