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시위소찬(尸位素餐)[민탄가(民歎歌) 3 페이지 / 전적]

관위에 있으면서 하는 일 없이 녹만 먹는 것.

시위소찬(尸位素餐)[초씨션원쳥음가 6 페이지 / 전적]

재덕(才德)이나 공적(功績)도 없이 높은 자리에 앉아 녹만 받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 직책(職責)을 다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시위에서 끝없이 피가 흘러 군복을 적셨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111 페이지 / 전적]

송징이 죽던 모습인데, <송대장군가>에 자세히 그려져 있다.

시유구월(時惟九月)[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때는 9월.

시유구월(時維九月) 념이일(念二日)[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때는 구월 이십이일. 념이일(念二日)은 22일. 염(念)은 스물.

시유구월(時維九月) 념이일(念二日)[합강정가(合江亭歌) 2 페이지 / 전적]

때는 구월 이십이일. 념이일(念二日)은 22일. 염(念)은 스물.

시유기시(時有其時)[론학가권지일 4 페이지 / 전적]

때는 그 때가 있음.

시유기시(時有其時)[론학가권지일 4 페이지 / 전적]

때는 그 때가 있음.

시유육월(時維六月)[근농가(勤農歌) 4 페이지 / 전적]

유월이 왔음을 알림. 시유(時維)는 주로 제문(祭文)에 쓰이는 낱말로 어떤 내용에 대한 알림의 뜻을 가짐.

시율(柿栗)[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감나무와 밤나무

시의(時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先生의 年譜中 「仁宗元年 여름 四月에 製述官으로써 赴召하였다가 바로 任所로 돌아오다」라는 條下에 나타나 있음.

시인[석천집(石川集二-四)2-4 71 페이지 / 전적]

原文의 『楚客』은 『詞客』즉 詩人을 뜻함.

시일(時日)[경노의심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마치기까지의 기간이나 기한.

시일갈상(時日曷喪)[명륜가(明倫歌) 51 페이지 / 전적]

날이면 날마다 초상 치름.

시일은 갈상고 여급여로 해망(時日曷喪 予及汝偕亡)[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저 해는 언제 없어질까? 나와 너가 함께 죽는구나.

시일은 갈상고 여급여로 해망(時日曷喪 予及汝偕亡)[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저 해는 언제 없어질까? 나와 너가 함께 죽는구나.

시임[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현임

시장[회심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배가 고픈 것.

시장[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배가 고픔’의 점잖은 말.

시장[자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배가 고픔.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