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비지사(是非之事)[김씨효행가 34 페이지 / 두루마리]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말다툼이 될 일.
시비지설(是非之說)[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3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말.
시비지심(是非之心)[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4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곧 사단(四端) 중 지(智)를 가리킴.
시비출입(柴扉出入)[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립문 밖에 들고 나는 일.
시사단(試士壇)[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영남지방의 과거시험 장소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 정조는 이황의 학덕과 유업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조판서 이만수에게 도산별과를 새로 만들어 지방의 인재를 선발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과거시험을 기념하기 위해 정조 20년(1796)에 영의정 채제공의 글로 비문을 새기고 시사단(試士壇)을 세웠음.
시사단(試士壇)[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영남지방의 과거시험 장소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 정조는 이황의 학덕과 유업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조판서 이만수에게 도산별과를 새로 만들어 지방의 인재를 선발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과거시험을 기념하기 위해 정조 20년(1796)에 영의정 채제공의 글로 비문을 새기고 시사단(試士壇)을 세웠음.
시사박렴(時使薄斂)[창덕가2 56 페이지 / 전적]
때에 따라 조세를 적게 거둠.
시사박렴(時使薄斂)[창덕가2 57 페이지 / 전적]
때에 따라 조세를 적게 거둠.
시살(弑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0 페이지 / 전적]
부모나 임금을 죽임.
시삼촌(媤三寸)[경노의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남편의 삼촌.
시상사(詩詳事)[갑지녹이라 7 페이지 / 전적]
시에 대한 상세한 지식.
시상촌(柴桑村)[명륜가(明倫歌) 3 페이지 / 전적]
도연명의 고향이자 은거지.
시서 백가(詩書百家) 경적(經籍)[ 1 페이지 / ]
시경과 서경 및 제자백가의 서책. 경서(經書). 성인들이 유교의 사상과 교리를 써놓은 책.
시서 백가(詩書百家) 경적(經籍)[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1 페이지 / 전적]
시경과 서경 및 제자백가의 서책.경서(經書). 성인들이 유교의 사상과 교리를 써놓은 책.
시서(詩書)[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과 서경(書經).
시서(詩書)[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과 서경(書經).
시서(詩書)[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과 서경(書經).
시서(詩書)[팔도가 10 페이지 / 전적]
시와 글씨.
시서(詩書)[팔도가 10 페이지 / 전적]
시와 글씨.
시서(詩書)[녁대가(녁가) 30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지은 『시경』과 『서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