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부(媤父)[신힁가라 17 페이지 / 전적]
시아버지.
시부(媤父)님[곽씨세덕가문니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시아버님.
시부(弑父)[녁대가(녁가) 55 페이지 / 전적]
아버지를 죽임. 양광이 아버지 수문제(隋文帝)를 죽인 것을 가리킴.
시부(詩賦)[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시(詩)와 부(賦)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시부(詩賦)[오륜가라 26 페이지 / 전적]
시(詩)와 부(賦)를 아울러 이르는 말.
시부(詩賦)[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9 페이지 / 전적]
시(詩)와 부(賦)를 아울러 이르는 말. 시는 자연이나 인생에 대하여 일어나는 감흥과 사상 따위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글이며, 부는 시의 육의(六義) 가운데 하나. 사물이나 그에 대한 감상을, 비유를 쓰지 아니하고 직접 서술하는 작법.
시부님[벽천가 27 페이지 / 전적]
시아버님.
시부식성(媤父食性)[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9 페이지 / 전적]
시부모님의 음식에 대하여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성미.
시분(始分)[유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비로소 나누어짐.
시불(侍佛)[권왕가 32 페이지 / 전적]
부처님을 모심.
시불(侍佛)[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13 페이지 / 전적]
부처님을 모시는 것.
시불리(時不利) 추불서(騅不逝)[아림가(娥林歌) 16 페이지 / 전적]
초패왕이 해하에서 한군(漢軍)에게 패하여 자살할 때 우미인에게 지어준 노래.
시불리혜(時不利兮) 추불서(騅不逝)[거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초패왕이 해하에서 한군(漢軍)에게 패하여 자살할 때 우미인에게 지어준 노래.
시비(侍婢)[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곁에서 시중을 드는 계집종.
시비(侍婢)[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곁에서 시중을 드는 계집종.
시비(侍婢)[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곁에서 시중을 드는 계집종.
시비(侍婢)[벽천가 15 페이지 / 전적]
곁에서 시중을 드는 계집종.
시비(侍婢)[용문가라 17 페이지 / 전적]
곁에서 시중을 드는 계집종.
시비(侍婢)[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시중드는 계집종.
시비(是非)[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오르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