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시숙(媤叔)[신힁가라 24 페이지 / 전적]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

시승(詩僧)[갑지녹이라 2 페이지 / 전적]

시문에 능통한 중.

시시(偲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8 페이지 / 전적]

「偲切」- 偲偲 切切의 준 말임. 論語 子路篇에「朋友切切偲偲」라 하였고, 註에「偲偲는 詳勉의 뜻이요 切切은 懇到의 뜻이라」하였음.

시시(偲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5 페이지 / 전적]

「偲偲切切」-벗 사귀는 도를 말함. 論語 子路篇에 『朋友 切切偲偲』라 했는데 胡氏註에『切切은 懇到요 偲偲는 詳勉이라』하였고, 또 論語 顔淵篇에 『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이란 대문이 있음.

시시(偲偲)[교우가(交友歌) 3 페이지 / 전적]

친절하게 알려주어 격려하는 일.

시시(時時)[자탄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때때로.

시시(時時)[한양가라 23 페이지 / 전적]

때때로.

시시(時時)[태평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때때로.가끔.

시시(時時)[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7 페이지 / 전적]

때때로.

시시(時時)[연행별곡(연별곡) 27 페이지 / 전적]

때때로.

시시(時時)로[긔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때때로(경우에 따라서 가끔).

시시(時時)로[답긔슈가 8 페이지 / 전적]

때때로.

시시(時時)로[회조가 2 페이지 / 전적]

때때로.

시시時時[ 1 페이지 / ]

때때로

시시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1 페이지 / 전적]

때때로.

시시비비(是是非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6 페이지 / 전적]

옳은 것은 옳다, 그른 것은 그르다고 한다는 뜻으로, 사리(事理)를 공정(公正)하게 판단(判斷)함을 이르는 말.

시시설원(時時雪冤)[수연가(수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때때로 원통한 사연 풀어주다.

시시설원(時時雪冤)[수연가(수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때때로 원통한 사연 풀어주다.

시시절절(時時切切)[오윤가 29 페이지 / 전적]

시시각각으로 매우 간절함.

시식(時食)[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그 계절에 특별히 있는 음식.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