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시식구[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댁 식구.

시아집[대동가(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시아주버니(남편과 항렬이 같은 사람 가운데 남편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이르는 말.)

시앙이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1 페이지 / 전적]

문맥으로 보면 ‘새아기여서’ 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시야비야(是也非也)[심시천인설(尋時天人說) 4 페이지 / 전적]

옳다 그르다 하고 시비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

시약(施藥)[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8 페이지 / 전적]

약을 듬.

시양(侍養)[시양병가(侍養病歌) 1 페이지 / 전적]

시중을 들며 봉양(奉養)함.

시여(施輿)[뎡슝샹회방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수레를 대령하다.

시예시확(是刈是濩)[냥신낙사가(냥신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베어내고 삶아냄.

시예시확(是刈是濩)[냥신낙사가(냥신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베어내고 삶아냄.

시왕(十王)[자책가(가) 8 페이지 / 전적]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한다고 하는 10위(位)의 왕.

시왕(十王)[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한다고 하는 10위의 왕. 즉 진광 대왕(秦廣大王), 초강 대왕(初江大王), 송제 대왕(宋製大王), 오관 대왕(伍官大王), 염라 대왕(閻羅大王), 변성 대왕(變成大王), 태산 대왕(泰山大王), 도시 대왕(都市大王), 평등 대왕(平等大王), 오도 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

시왕사자(十王使者)[금강산유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 있다는 십대왕(十大王)의 사자(使者). 사람이 죽으면 십대왕에게 생전에 지은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에 대한 심판을 받는다고 함.

시왕전(十王殿)[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5 페이지 / 전적]

시왕을 모신 법당(法堂).지장보살을 주불로 하고 염마, 기타 시왕제신을 안치한 불전.명부전,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시왕전(十王殿)[합강정가(合江亭歌) 9 페이지 / 전적]

시왕을 모신 법당(法堂).지장보살을 주불로 하고 염마, 기타 시왕제신을 안치한 불전.명부전,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시우(時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9 페이지 / 전적]

「時雨化」― 孟子 盡心篇에 「有如時雨化之者」라 했는데 註에「時雨는 때에 맞추어 오는 비를 이름이다. 무릇 草木의 生에 있어播種封植의 일에는 人力이 이미 지극했지만 능히 自化하지 못 하니 이것은 雨露의 滋가 적기 때문이다. 이때에 맞추어 비를내려주면 그 化가 速하다 敎人하는 法도 이이와 같으니 孔子가顔子 曾子에게도 이와 같이 했을 따름이다」라 하였음.

시우사창(時雨紗窓)[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철을 맞추어 오는 비와 비단으로 바른 창.

시운(時運)[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시대의 운수.

시운(時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그 시대의 운수.

시운(時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그 시대의 운수.

시운(時運)세변(世變)[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때의 운수와 세상의 형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