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장하다[대동가(동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배가 고프다.
시장한테[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배가 고픈 것.
시장한테[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배가 고픈 것.
시재시재(時哉時哉)[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을 때를 만난 기뻐 감탄(感歎)하는 소리
시재시재(時哉時哉)[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을 때를 만난 기뻐 감탄(感歎)하는 소리
시전(詩傳[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의 내용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시전(詩傳[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의 내용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시전(詩傳[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의 내용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시전(詩傳)[팔도안희가 17 페이지 / 전적]
유학(儒學)에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시경(詩經)이라고도 한다. 중국 최고(最古)의 시집으로 공자가 편찬하였다고 전하나 정확하지 않다. 주(周)나라부터 춘추 시대까지의 시 311편을 풍(風), 아(雅), 송(頌)의 세 부문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오늘날 전하는 것은 305편이며 한나라 모형(毛亨)이 전하였다고 하여 ‘모시(毛詩)’라고도 한다.
시전(詩傳)[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의 내용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시절(時節)노래[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시절가(時節歌). 시절을 읊은 속요.
시절가(時節歌)[시절가 4 페이지 / 전적]
시절(時節)을 읊은 옛날 내방(內房) 가사(歌辭).
시절가(時節歌)[창덕가2 90 페이지 / 전적]
시절(時節)을 읊은 속요(俗謠).시조(時調).옛날 내방(內房) 가사(歌辭).
시절가(時節歌)[창덕가2 91 페이지 / 전적]
시절(時節)을 읊은 속요(俗謠).시조(時調).옛날 내방(內房) 가사(歌辭).
시정(市井)[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사람과 집이 모인 곳.
시정배(市井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1 페이지 / 전적]
시장에서 장사하는 사람의 무리.
시제(時祭)[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시향(時享)과 같은 말로 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가묘에 지내는 제사.
시제(時祭)[효행가(孝行歌) 5 페이지 / 전적]
시향(時享).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가묘에 지내는 제사.
시젼강에[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전(市廛街)에. 저자 거리에. 가게가 있는 거리.
시조(始祖)[한양가라 48 페이지 / 전적]
한 집안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