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식근(食根)[호남비결(湖南秘訣) 14 페이지 / 전적]

먹을거리가 나오는 근원이라는 뜻으로, '논밭'을 이르는 말.

식년(式年)[가사소리 36 페이지 / 전적]

자(子), 묘(卯), 오(午), 유(酉) 따위의 간지(干支)가 들어 있는 해.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데, 이해에 과거를 실시하거나 호적을 조사하였음.

식년(式年)[수션의라 12 페이지 / 전적]

자(子), 묘(卯), 오(午), 유(酉) 따위의 간지(干支)가 들어 있는 해.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옴.

식년(式年)[기수가 2 페이지 / 전적]

자(子), 묘(卯), 오(午), 유(酉) 따위의 간지(干支)가 들어 있는 해.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옴.

식년과(式年科)[사친곡 7 페이지 / 전적]

3년마다 돌아 은 과거시험.

식녹신자(食祿臣子)[가사소리 9 페이지 / 전적]

나라에서 주는 녹봉이나 먹으며 축내고 있는 신하.

식량(食量)[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식을 먹는 분량.

식록감사(食祿監司)[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식록(食祿) 녹봉(祿俸)과 같은 말로 관직에 근무하며 받은 댓가를 말한다. 감사(監司)는 관찰사(觀察使)라고도 하는데, 조선시대의 지방장관이다.

식루사(拭淚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눈물을 닦는 모양의 사(砂) 형세.

식루사(拭淚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눈물을 닦는 모양의 사(砂) 형세.

식루사(拭淚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눈물을 닦는 모양의 사(砂) 형세.

식목실(食木實)[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무열매를 따먹음.

식목실(食木實)[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 열매를 먹는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성인인 유소씨(有巢氏)가 새가 보금자리를 만들고 사는 것을 보고 사람에게 집짓는 법과 나무열매를 따먹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식목실(食木實)[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 열매를 먹는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성인인 유소씨(有巢氏)가 새가 보금자리를 만들고 사는 것을 보고 사람에게 집짓는 법과 나무열매를 따먹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식목실(食木實)[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나무의 열매를 따먹는다.

식목실(食木實)[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나무의 열매를 따먹는다.

식목실(食木實)[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무열매를 먹음.

식목실(食木實)[가사소리 5 페이지 / 전적]

나무열매를 먹음.

식물(食物)[셔유곡 2 페이지 / 전적]

먹을거리(사람이 먹고 살 수 있는 온갖 것).

식물거[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식물거행(食物擧行). 음식 차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