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식전방장(食前方丈)[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맛있는 음식을 사방으로 한 길이나 되게 차려 놓은 것.

식주인[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나그네를 재워 주고 밥을 파는 집의 주인.

식주정셩[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6 페이지 / 전적]

식주정성(食住精誠). 먹을거리와 기거(寄居)의 문제에 대한 정성.

식찬(食饌)[남은곡 권지단이라 20 페이지 / 전적]

반찬.

식채(食債)[옥단춘전이라 16 페이지 / 전적]

여관이나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고 갚지 못한 빚.

식채주채(食債酒債)[민탄가(民歎歌) 5 페이지 / 전적]

외상으로 먹고 갚지 못한 음식과 술 빚.

식키고[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식어지고.

식토민(息土民)[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식토는 기름진 땅을 말하며, 식토민은 기름진 땅을 가꾸는 백성을 말한다.

식토민(息土民)[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식토는 기름진 땅을 말하며, 식토민은 기름진 땅을 가꾸는 백성을 말한다.

식후(式後)[환행가 30 페이지 / 두루마리]

의식이 끝난 뒤.

식후(式後)[환행가 30 페이지 / 두루마리]

의식이 끝난 뒤.

식후경(食後景)[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무리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불러야 흥이 나는 것처럼 배가 고파서는 아무 일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신(信)[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믿음이 있고 성실함을 이르는 말.

신(信)한 후(後)[권왕가 21 페이지 / 전적]

믿어진 뒤

신(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73 페이지 / 전적]

「美新」-新은 王莽이 篡漢自立하여 國號를 고쳐 新이라 했는데 揚雄이 美新論을 지었음.

신(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戌申」- 申國은 平王의 母家인데 그 땅이 楚國과 가까워서 자주 侵伐을 받으니 平王은 畿內 백성을 보내어 지키게하므로戌者가 원망하여「彼其之子 不與我戌申」이란 「揚之水」詩를지었음.

신(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謁鄭參申」―鄭은 湖陰 鄭士龍이요 申은 駱峯申光漢인데 모두 當時文苑의 巨擘이었음.

신감[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조선 문신

신거관(愼居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명종 때의 문신(1498~1564). 자는 율이(栗耳). 호는 독재(獨齋). 호조 판서, 지중추부사 따위를 역임하였다.

신경(神境)[상사가라 4 페이지 / 전적]

신선의 경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