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신무문(神武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서울 경복궁의 북문으로 임금이 경무대에서 거행되는 과거장에 행차할 때에만 이 문을 열었다.

신무소범(神無所犯)[창덕가2 33 페이지 / 전적]

신이 범하지 못하는 사람.

신무소범(神無所犯)[창덕가2 34 페이지 / 전적]

신이 범하지 못하는 사람.

신무소범(身無所犯)[안심가 9 페이지 / 전적]

몸에 죄를 범한 바가 없음.

신무왕(神武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1 페이지 / 전적]

신라 제45대 왕(?~839). 성은 김(金). 이름은 우징(祐徵). 장보고, 김양(金陽) 등의 도움으로 839년에 민애왕을 시해하고 왕이 되었으나, 수개월 뒤에 병사하였다

신문고(申聞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백성이 억울한 일을 하소연할 때 치게 하던 북으로 태종 때에 대궐의 문루(門樓)에 달았다.

신문고(申聞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3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태종(太宗) 2년부터 백성(百姓)이 원통(寃痛)한 일을 호소(呼訴)할 때 치게 하여, 당부에서 이를 알도록 한 북.

신문왕(神文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0 페이지 / 전적]

신라 제31대 왕(?~692). 성은 김(金). 이름은 정명(政明)ㆍ명지(明之). 자는 일초(日怊). 국학을 세워 학문을 장려하고, 관제를 다시 정비하여 신라의 황금시대를 이룩하였다.

신미(辛未)[남천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육십갑자의 여덟째.

신미(辛未)[남천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육십갑자의 여덟째.

신미전장(辛未戰場)[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1811년(辛未年)에 일어났던 홍경래의 난을 뜻함.

신미태(辛未兌)[송강집(松江集二)2 153 페이지 / 전적]

산(山)의 형국이 금토금(金土金)이라는 뜻.

신민(新民)[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8 페이지 / 전적]

백성을 새롭게 하다.

신민(新民)[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2 페이지 / 전적]

백성을 새롭게 하다.

신민(臣民)[한양가라 42 페이지 / 전적]

군주제에서 관원과 백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신민둔(新民屯)[연행별곡(연별곡) 14 페이지 / 전적]

청대의 신흥 군사기지.

신방(新房)[쌍옥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 신부가 거처하도록 새로 꾸민 방.

신방(申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5 페이지 / 전적]

서쪽 방향.

신방(辛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5 페이지 / 전적]

북북서 방향.

신방(辛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0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