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신잠(申潛,1491-1554)[석천집(石川集二-三)2-3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명종 때의 문신.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 조선 중종 14년 현량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해 검열(檢閱)이 되었으나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 중종 38년 다시 등용되어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가 되었고 태인현감, 간성군수 등을 역임했다.

신장(神將)[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귀신 가운데 무력을 맡은 장수신. 사방의 잡귀나 악신을 몰아내는 몫을 함.

신장(神將)[서가여래가사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고 사찰을 호위하는 신.

신장(神將)[서가여래가사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고 사찰을 호위하는 신.

신장(神將)[갑지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화엄신장, 술가(術家)에서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쓴 귀신을 이름.

신장님 전[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병(神兵)을 거느린 장수. 주로 주신(主神)을 모시며 경계의 임무를 맡은 신.

신장때[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장대(神將--). 무당이 신장을 내릴 때 쓰는 막대기나 나뭇가지.

신장사(申壯士)[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신립(申砬). 조선 선조 때의 무장(1546~1592). 자는 입지(立之). 한성부 판윤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왜군을 막다가 전사하였다

신장사(申壯士)[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신립(申砬). 조선 선조 때의 무장(1546~1592). 자는 입지(立之). 한성부 판윤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왜군을 막다가 전사하였다

신장사(申壯士)[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신립(申砬). 조선 선조 때의 무장(1546~1592). 자는 입지(立之). 한성부 판윤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왜군을 막다가 전사하였다

신장사(申壯士)[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신립(申砬, 1546-1592)장군을 말하며 임진왜란 첫 해에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펼치고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신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5 페이지 / 전적]

「新齋」-崔山斗의 字는 景仰·號는 新齋이며 光陽人으로 燕山癸酉에 文科에 登第하여 湖堂에 選入되고 官은 舍人에 이르렀다. 中宗己卯에 禍가 일어나자 배척을 입어 同福縣에 謫居하여 自號를 蘿葍山人이라 하였음.

신재(新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9 페이지 / 전적]

「新齋」- 崔山斗의 號임. 新齋의 字는 景仰이요 光陽人이요 燕山甲子레 生員科를 合格하고 癸酉에 文科에 올라 湖堂에 被選되고 官은 舍人에 이르렀으며, 中宗己卬에 士禍가 일어나 同福에 謪居하였다. 尹衢, 柳成春과 함께 湖南의 三傑이라 지칭되었음.

신적(信蹟)[명륜가(明倫歌) 68 페이지 / 전적]

믿을 만한 근거.

신절(臣節)[사군가(事君歌) 9 페이지 / 전적]

신하가 지켜야할 절개.

신절(臣節)[신절가(臣節歌) 1 페이지 / 전적]

신하가 지켜야할 절개.

신정 미흡(新情未洽)[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새로 사귄 정이 흡족하지 못함.

신정(新情)[여행록이라(여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새로 사귄 정.

신정(新情)[망부가 5 페이지 / 전적]

새로 사귄 정.

신정(新正)[소년애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새해 정월(正月). 새해의 첫 머리. 양력(陽曆) 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