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신종추원(愼終追逺[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양친(兩親)의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祭祀)에는 공경(恭敬)을 다함.

신종추원(愼終追逺[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양친(兩親)의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祭祀)에는 공경(恭敬)을 다함.

신종추원(愼終追逺[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양친(兩親)의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祭祀)에는 공경(恭敬)을 다함.

신종황졔[역대가라(역가라) 10 페이지 / 전적]

신종황제(神宗皇帝). 명(明)나라 제13대 황제. 1572년 목종(穆宗)이 죽자 즉위하여 만력(萬曆) 연호를 썼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에 심유겸(沈惟敬), 이여송(李如松) 등을 파병함.

신종황졔[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1 페이지 / 전적]

신종황제(神宗皇帝). 명(明)나라 제13대 황제. 1572년 목종(穆宗)이 죽자 즉위하여 만력(萬曆) 연호를 썼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에 심유겸(沈惟敬), 이여송(李如松) 등을 파병함.

신주(神主)[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위패.

신주(神主)[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위패.

신주(神主)[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위패.

신주(神主)[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위패.

신주(神主)[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위패.대개 밤나무로 만드는데, 길이는 여덟 치, 폭은 두 치가량이고,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지게 생겼다.

신주(神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6 페이지 / 전적]

「神州」- 戰國時代 鄒衍이 中國을 일컬어「赤縣神州」라 했으므로 後世에 이를 因하여 中國을 神州라 稱함. 虞世南의 吳郡詩에「三分開伯業 萬里宅神州」라 하였음.

신주보(神主褓)[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신주를 모셔 두는 나무 궤를 덮던 보.

신주보(神主褓)[로인가 1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신주를 모셔 두는 나무 궤를 덮던 보.

신중(身中)[자탄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몸 속.

신중평안(身中平安)[리행소챙가 49 페이지 / 전적]

신체의 상태가 매우 평안 함.

신지(莘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2 페이지 / 전적]

「莘摯」- 摯는 國名인데 文王의 모친 太任은 摯國의 中女요 莘도 國名인데 文王의 妻 太似는 莘國의 長女로서 모두 聖德이 있었음.

신착(身着)[장씨부인역사라 13 페이지 / 전적]

몸에 입은 옷.

신착(身着)[장씨부인역사라 13 페이지 / 전적]

몸에 입은 옷.

신채호(申采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9 페이지 / 전적]

사학자ㆍ독립운동가ㆍ언론인(1880~1936). 호는 단재(丹齋)ㆍ단생(丹生)ㆍ일편단생(一片丹生). 성균관 박사를 거쳐,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에 강직한 논설을 실어 독립 정신을 북돋우고, 국권 강탈 후에는 중국에 망명하여 독립운동과 국사 연구에 힘쓰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저서에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朝鮮史硏究草)≫ 따위가 있다.

신천사[팔역가(八域歌) 38 페이지 / 전적]

천사였던 신원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