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신농씨(神農氏)[회츈가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농업ㆍ의료ㆍ악사(樂師)의 신, 주조(鑄造)와 양조(釀造)의 신이며, 또 역(易)의 신, 상업의 신이라고도 함.
신농씨(神農氏)[영산초장이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농업ㆍ의료ㆍ악사(樂師)의 신, 주조(鑄造)와 양조(釀造)의 신이며, 또 역(易)의 신, 상업의 신이라고도 함.
신농우하(神農虞夏)[슈양가 5 페이지 / 전적]
신농씨(神農氏)와 우왕(禹王). 신농씨는 고대 중국의 전설상 임금인 염제(炎帝). 복희씨(伏羲氏)의 뒤를 이어 다스렸는데, 백성에게 쟁기와 비슷한 따비를 만들어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음. 백초(百草)를 맛보아서 의약을 만들고, 설시(設市)하여 상거래(商去來) 매매법(賣買法)을 이루었다고 함. 우왕은 중국 최초의 왕조인 하(夏)나라를 세운 성군(聖君).
신농우하(神農虞夏)[반졀퓨리 1 페이지 / 전적]
신농씨(神農氏)와 우왕(禹王). 신농씨는 고대 중국의 전설상 임금인 염제(炎帝). 복희씨(伏羲氏)의 뒤를 이어 다스렸는데, 백성에게 쟁기와 비슷한 따비를 만들어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음. 백초(百草)를 맛보아서 의약을 만들고, 설시(設市)하여 상거래(商去來) 매매법(賣買法)을 이루었다고 함. 우왕은 중국 최초의 왕조인 하(夏)나라를 세운 성군(聖君).
신농유업(神農淚業)[경난가 19 페이지 / 전적]
농사짓는 법을 처음으로 가르쳤다는 고대 중국의 신농씨의 유업이라는 뜻.
신농이하(神農以下)[신정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신농(神農)은 중국 삼황(三皇)의 하나로 흔히
신농황제(神農黃帝[인여가(引轝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의 임금인 염제(炎帝). 복희씨 뒤를 이어 다스렸는데, 백성에게 쟁기와 비슷한 따비를 만들어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음. 백초(百草)를 맛보아서 의약을 만들고, 설시(設市)하여 상거래(商去來) 매매법을 이루었다고 함.
신농황제(神農黃帝[인여가(引轝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의 임금인 염제(炎帝). 복희씨 뒤를 이어 다스렸는데, 백성에게 쟁기와 비슷한 따비를 만들어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음. 백초(百草)를 맛보아서 의약을 만들고, 설시(設市)하여 상거래(商去來) 매매법을 이루었다고 함.
신농황제(神農黃帝[인여가(引轝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의 임금인 염제(炎帝). 복희씨 뒤를 이어 다스렸는데, 백성에게 쟁기와 비슷한 따비를 만들어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음. 백초(百草)를 맛보아서 의약을 만들고, 설시(設市)하여 상거래(商去來) 매매법을 이루었다고 함.
신농황제(神農黃帝)[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신농(神農)은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제왕의 하나임. 농사짓는 법을 처음으로 가르쳤으므로 신옹씨(神農氏)라고 하고, 화덕(火德)으로 다스리었으므로 염제(炎帝)라고도 함. 제약법(製藥法)과 역(易)의 64효(爻)를 만들었다고 함. 황제(黃帝)의 성은 공손(公孫) 또는 희(姬)이며, 헌원의 언덕에서 낳았으므로 헌원씨라고 하고, 유웅(有熊)에 국도를 정한 까닭으로 유웅씨(有熊氏)라고도 일컬음. 염제(炎帝) 때에 제후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자 병사들에게 무기
신농황제(神農黃帝)[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신농(神農)은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제왕의 하나임. 농사짓는 법을 처음으로 가르쳤으므로 신옹씨(神農氏)라고 하고, 화덕(火德)으로 다스리었으므로 염제(炎帝)라고도 함. 제약법(製藥法)과 역(易)의 64효(爻)를 만들었다고 함. 황제(黃帝)의 성은 공손(公孫) 또는 희(姬)이며, 헌원의 언덕에서 낳았으므로 헌원씨라고 하고, 유웅(有熊)에 국도를 정한 까닭으로 유웅씨(有熊氏)라고도 일컬음. 염제(炎帝) 때에 제후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자 병사들에게 무기 사용법을 가르쳐 판천(阪泉)들에서 함귀(咸歸)를 물리침으로서 해결하였고. 배와 수레를 창조하여 교통을 편리하게 하였음. 당시 지남차(指南車)를 만들어 탁록(涿鹿)의 벌판에서 치우(蚩尤)를 쳐서 평정하니, 제후가 천자로 받들어 신농씨(神農氏) 뒤를 잇게 되었으며, 또한 토덕(土德)의 서기(瑞氣)가 있다고 하여 황제(黃帝)로 일컬어짐.
신뉴슌미 읏듬이라[효봉구고치산가 14 페이지 / 전적]
신유순(愼柔順)함이 으뜸이라.
신단(神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6 페이지 / 전적]
神丹」-즉 金丹을 이름. 抱朴子內篇 金丹에 『老子의 訣言에이르기를 「子不得還丹金液 虗自苦耳」라 하였거니와 무릇 丹의 物됨이 불에 태우기를 오래할수록 變化가 더욱 妙하다 黃金은 불에 들어가 백번을 달구어도 녹지 않으니 이 두가지 物을 長服하면 사람의 身體가 鍛煉된다 그러므로 능히 사람으로 하여금 늙지 않게하고 죽지도 않게한다』하였다. 이를 의거하여 按하면 金은 곧 黃金液이요 丹은 丹砂를 煉成하여 還丹한 것이다 또 內丹 外丹의 구별이 있으니 外丹은 곧 丹砂
신단수(神檀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단군 신화에서, 환웅이 처음 하늘에서 그 밑으로 내려왔다는 신성한 나무.
신당선생(新堂先生)[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정붕(鄭鵬, 1467-1512)을 말함.
신대왕(新大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9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8대 왕(?~179). 이름은 백고(伯固)ㆍ백구(伯句). 좌ㆍ우보(左右輔)의 직제를 국상(國相)으로 바꾸고, 172년 중국 한(漢)나라 군대의 침입을 물리쳤다.
신덕왕(神德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2 페이지 / 전적]
신라 제53대 왕(?~917). 성은 박(朴). 이름은 경휘(景暉). 본명은 수종(秀宗). 효공왕이 후사 없이 죽자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견훤과 궁예의 침입을 받았다.
신도(臣道)[신절가(臣節歌) 6 페이지 / 전적]
신하(臣下)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道理).
신도(臣道)[신도가(臣道歌) 2 페이지 / 전적]
신하(臣下)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道理).
신도비(神道碑)[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나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의 무덤 동남쪽의 큰길가에 세운 석비(石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