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집가서 구고(舅姑)[ 1 페이지 / ]
딸이 시집가는 것을 이르는 ‘지자우귀(之子于歸)’를 가리킴. 여자는 남편의 집을 자기 집으로 삼음으로 ‘歸’라고 함. 시부모(媤父母)
시집가서 구고(舅姑)[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8 페이지 / 전적]
딸이 시집가는 것을 이르는 ‘지자우귀(之子于歸)’를 가리킴. 여자는 남편의 집을 자기 집으로 삼음으로 ‘歸’라고 함. 시부모(媤父母)
시집가서, 구고(舅姑)[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9 페이지 / 전적]
딸이 시집가는 것을 이르는 ‘지자우귀(之子于歸)’를 가리킴. 여자는 남편의 집을 자기 집으로 삼음으로 ‘歸’라고 함, 시부모(媤父母)
시채(蓍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蓍蔡」- 蓍는 풀이름이요 蔡는 큰 거북인데 거북점을 卜이라하고 蓍草 점을 筮라함.
시책문(諡策文)[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9 페이지 / 전적]
제왕(帝王)이나 후비(后妃)의 시호를 임금께 아뢸 때에, 그 생전의 덕행을 칭송하여 지은 글.
시천주(侍天主)[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9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내 몸에 한울님을 모셨다’라는 뜻으로, 한울님은 항상 마음속에 있다고 믿는 일.
시천주문(侍天主文)[역대삼재가라 11 페이지 / 전적]
至氣今至願爲大降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 강령주문 8자와 본주문 13자의 21자.
시초(始初)[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1 페이지 / 전적]
①시작(始作)한 처음 무렵 ②처음 ③애초.
시축(詩軸)[석천집(石川集二-五)2-5 107 페이지 / 전적]
시를 적은 두루마리, 또는 시화축(詩畵軸).
시축(詩軸)[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를 적는 두루마리.
시축(詩軸)[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를 적는 두루마리.
시취(詩趣)[별한가 35 페이지 / 전적]
시적인 정취. 또는 시를 짓거나 감상하는 취미.
시측(侍側)[사친가2(思親歌(二)) 16 페이지 / 전적]
곁에 있으면서 웃어른을 모시는 것.
시측(侍側)[한별곡 43 페이지 / 전적]
곁에 있으면서 웃어른을 모심.
시친(尸親)[구쟉가 8 페이지 / 전적]
죽임을 당한 사람의 친척.
시키거라[농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져올 것을 시켜라.
시키거라[농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져올 것을 시켜라.
시탄(猜憚)[경노의심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시기하여 꺼림.
시탕(侍湯)[효자가 6 페이지 / 전적]
부모의 병환에 약 시중을 드는 일.
시탕(侍湯)[권왕가 44 페이지 / 전적]
부모의 병에 약 시중을 드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