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비(是非)[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옳고 그름.
시비(是非)[셩경가 10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말다툼.
시비(是非)[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4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 혹은,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
시비(是非)[셩경가 10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말다툼.
시비(是非)[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4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 혹은,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
시비(是非)장단[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옳고 그름과 남의 행동을 뒤에서 꼬드기는 짓.
시비(柴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사립문.
시비곡절(是非曲折)[오륜가라 32 페이지 / 전적]
시비곡직.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시비곡절(是非曲折)[가사소리 32 페이지 / 전적]
시비곡직.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시비곡직(是非曲直)[오륜가라 43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시비곡직(是非曲直)[화초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옳고 그리고 굽고 바름.
시비곡직(是非曲直)[충효가(忠孝歌) 35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 굽고 바름.
시비곡직(是非曲直)[화초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옳고 그리고 굽고 바름.
시비곡직(是非曲直)[여행록이라(여녹이라) 14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시비득담(是非得談)[명륜가(明倫歌) 60 페이지 / 전적]
시빗거리를 일으켜 비방이나 나무라는 말을 들음.
시비시비(是非是非)[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3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르니 옳고 그르니.즉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뜻함.
시비욕설(是非辱說)[명륜가(明倫歌) 95 페이지 / 전적]
시비를 걸며 욕을 함.
시비지단(是非之端)[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8 페이지 / 전적]
시비가 일어나는 꼬투리.
시비지단(是非之端)[김씨효행가 35 페이지 / 두루마리]
시비가 일어나는 꼬투리.
시비지사(是非之事)[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5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