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송 형(宋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8 페이지 / 전적]
「송형」-莊子 및 荀子에는 銒으로 되었음.
송간암하(松間岩下)[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송간(松間)은 소나무와 소나무의 사이.
송강 상공(松江相公)[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4 페이지 / 전적]
정철(鄭澈, 중종 31, 1536~선조 26, 1593) 호는 송강(松江), 자는 계함(季涵), 판관 유침(惟沈)의 아들. 을사사화 때 부친이 유배되었다가, 명종 6년(1551)에 특사되어 온 가족이 고향인 전라도 창평에 머물면서, 김윤제, 김인후, 양응정의 문인이 되어 10여 년간 학업에 전념하면서 기대승, 이이, 성혼 등과도 교류했다. 명종 16년(1561)에 진사시에, 다음해 별시문과에 장원하여, 지평(持平), 전적(典籍) 등을 거쳐 함경도 암행어사, 사간, 직제학, 형조, 예조판서, 대사헌,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했다.
송강(松江)[ 1 페이지 / ]
담양군(옛날의 창평) 고서면 원강리에 있는 산언덕 아래에 흐르는 내 이름. 일명 죽록천 竹錄川이라 함.
송강(松江)[ 1 페이지 / ]
담양의 고서면 원강리의 산언덕에 있는 정자 이름임. 일명 죽록천竹錄川이라 함
송강(松江)[ 1 페이지 / ]
송강정의 아래에 흐르는 시내 이름. 일명 죽록천이라고도 함.
송강(松江)[석천집(石川集二-五)2-5 174 페이지 / 전적]
담양군 봉산면에 있는 정철(鄭澈)이 경영했던 송강정(松江亭) 앞에 흐르는 시내. 일명 죽록천(竹綠川)이라고도 함. 정철은 호를 송강이라 하였음.
송강(松江)의 농어(鱸魚)[송강집(松江集二)2 110 페이지 / 전적]
松江鱸. 장한(張翰)이 강동보병(江東步兵)으로 있다가 추풍(秋風)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서 송강(松江)의 농어와 순갱(蓴羹)이 생각나서 배를 타고 떠났음.
송강노어(松江鱸魚)[민탄가(民歎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상해시 송강현의 송강에서 나는 농어.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송강노어(松江鱸魚)[어부사(漁父辭) 1 페이지 / 전적]
중국 상해시 송강현의 송강에서 나는 농어.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송객정(送客亭)[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대동강 지류. 보통송객(普通送客)은 평양 팔경의 하나.
송객정(送客亭)[추풍감곡(秋風感曲) 5 페이지 / 전적]
대동강 지류. 보통송객(普通送客)은 평양 팔경의 하나.
송객정(送客亭)[상사가라 4 페이지 / 전적]
정자의 이름으로, 떠날 사람을 이곳에서 전송한다는 의미임.
송거(送去)[북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떠나 보냄.
송거(送去)[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보냄.
송거(送去)[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보냄.
송경[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2 페이지 / 전적]
동래부사의 직위를 맡은 인물이긴 하나 자세히 알지 못함.
송경(宋璟)[녁대가(녁가) 58 페이지 / 전적]
당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상(名相).
송경(松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 이후, 고려의 서울인 개성을 이르던 말로 송악산 아래에 있는 서울이라는 뜻이다.
송경(誦經)[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불경을 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