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송구영신(送舊迎新)[말이타국원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사모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송구영신(送舊迎新)[청춘사연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
송국松菊[ 1 페이지 / ]
소나무와 국화
송국유존(松菊猶存)[고분가 13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국화는 아직도 꼿꼿하다.
송국유존(松菊猶存)[고분가 13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국화는 아직도 꼿꼿하다.
송군남포동비가(送君南浦動悲歌)[연행별곡(연별곡) 7 페이지 / 전적]
“님 보내는 남포에 슬픈 노래가 흐르는구나.” 고려시대 문인 정지상(鄭知常)이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한시 <송인(送人)>의 2구.
송군덕(頌君德)[충효가(忠孝歌) 7 페이지 / 전적]
임금 또는 군자의 덕을 칭송함.
송궁문[석천집(石川集二-二)2-2 62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문장가 한유(韓愈)가 지은 글 이름이다.
송궁문(送窮文)[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문인 한유(韓愈)가 지은 문장.
송궁문(送窮文)[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문인 한유(韓愈)가 지은 문장.
송근(松根)[ 1 페이지 / ]
솔뿌리, 소나무의 뿌리.
송낙[옥산가라 10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승이 주로 쓰던, 송라를 우산 모양으로 엮어 만든 모자.
송녀(送女)[혼례가(婚禮歌) 4 페이지 / 전적]
딸을 보냄, 시집 보냄을 이르는 말.
송담(松潭)[ 1 페이지 / ]
소나무 그림자 드리운 연못이란 뜻인데 환벽당 앞의 창계를 달리 부른 이름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