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송도(松都)[한양가라 80 페이지 / 전적]
고려왕조의 수도였던 개성(開城)의 옛이름.
송도(松都)[유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왕조의 도읍지.
송도(松都)[옥산가라 5 페이지 / 전적]
‘개성(경기도 서북부에 있는 시)’(開城)의 옛 이름. 고려의 수도.
송독(誦讀)[우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외거나 소리 내어 읽음
송독(誦讀)[효행가(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소리를 내어 글을 읽음.
송독(誦讀)[효행가(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소리를 내어 글을 읽음.
송독(誦讀)[답사향곡(답향곡) 7 페이지 / 전적]
소리를 내어 글을 읽음.외워서 글을 읽음.
송락초의(松落草衣)[교몽가 3 페이지 / 전적]
초의(草衣)는 ‘의순’의 호.
송록(松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松綠」―즉 松醦임. 蘇軾이 定州守로 되었을때 曲陽에서 松膏釀酒를 얻어 松醦賦를 지었음
송백(松柏)[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와 잣나무. 장수(長壽)를 뜻하는 나무.
송백(松柏)[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와 잣나무. 장수(長壽)를 뜻하는 나무.
송백(松柏)[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와 잣나무.
송백(松柏)[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잣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송백(松柏)[가사소리 12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잣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송백(松柏)은 울울(鬱鬱)하여[용담가라 5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잣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 울창함 모습.
송백같이[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송백(松柏). 소나무와 잣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송백같이[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송백(松柏). 소나무와 잣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송백목(松柏木)[막소가(莫笑歌) 11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에서, 경인(庚寅)·신묘(辛卯)의 납음(納音)을 말한다.
송백양류(松柏楊柳)[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잣나무, 그리고 버드나무.
송병선(宋秉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2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때의 문신(1836~1905). 자는 화옥(華玉). 호는 연재(淵齋). 좨주를 거쳐 대사헌을 지냈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일본을 경계할 것을 상소하고 고향에 가서 자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