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열황제(昭烈皇帝)[리행소챙가 14 페이지 / 전적]

촉한의 제1대 황제로 즉위했던 유비를 이름.

소열황제(昭烈皇帝)[조심가라 40 페이지 / 전적]

중국 촉한의 시조인 유비의 시호.

소영嘯咏[ 1 페이지 / ]

시를 지어 읊조림.

소영嘯詠[ 1 페이지 / ]

휘파람 불고 읊조림.

소영疎影[ 1 페이지 / ]

드문드문 비치는 성긴 그림자

소옹(少翁)[녁대가(녁가) 44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 때의 방사(方士). 무제가 사랑하던 왕부인을 잃고 상심할 때, 소옹이 방술로 왕부인의 모습을 불러내어 휘장 안에서 만나게 해 주자, 이로 인하여 무제는 소옹을 문성장군(文成將軍)이라 칭하고는 많은 상을 내렸음.

소옹(邵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7 페이지 / 전적]

「邵翁」-宋 范陽人인데 字는 堯夫이며 일찌기 圖書先天象數의 學을 北海 李之才에게 받아 易에 精하여 마침내 先天卦位圖를 지었다. 두번이나 遺逸로 被薦되어 官을 제수했으나 모두 赴任하지 않고 共城 蘇門山 百泉上에서 讀書하며 耕稼로 自給하며 그 居를 安樂窩라 이름하고 安樂先生이라 自號하였다. 卒하니 諡는 康節이요 宋朝 六君子의 一人이며 著書로는 觀物篇漁樵問答, 伊川擊壤集 皇極經世 等이 있어 行世함.

소와 양들이 살찌고 잘 자라게 하였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229 페이지 / 전적]

공자께서 예전에 창고를 지키는 위리(委吏)를 지내신 적이 있었는데, ‘나는 회계만 정확하게 맞췄다.‘고 하셨다. 또 동산을 지키는 승전(乘田)을 지내신 적도 있었는데, ‘나는 소와 양들이 살찌고 잘 자라게 했을 뿐이다.‘고 하셨다. -<<맹자>>

소왕(素王)[권션지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군주의 위(位)가 없으면서도 군주의 덕이 있는 사람.

소왕(素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7 페이지 / 전적]

「素王」-王者의 道를 지녔으나 王者의 位가 없는 이를 이름.莊子 天道에 『以此處下 玄聖素王之道也‘ 라 했는데 註에 『有其道而無其爵者 所謂素王 自貴也』라 하였고, 家語出姓解에 『齊太史子 見孔子 退曰 「或者天將欲與素王之乎 夫何其盛也」』했다. 孔子를 이름.

소왕(素王)[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왕위에 있지는 않으나 임금의 덕을 갖춘 사람. 유가(儒家)에서는 공자(孔子)를, 도가(道家)에서는 노자(老子)를 이름.

소왕(素王)[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왕위에 있지는 않으나 임금의 덕을 갖춘 사람. 유가(儒家)에서는 공자(孔子)를, 도가(道家)에서는 노자(老子)를 이름.

소왕(蕭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蕭王」-劉秀를 말함. 처음 更始는 使者를 보내어 劉秀를 蕭王으로 삼았는데 뒤에 天子가 되었음.

소요(逍遙)[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소요(逍遙)[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소요(逍遙)[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소요逍遙[ 1 페이지 / ]

사물에 구애받지 않고 즐겨 거닐음. 자적하며 즐기는 일

소요담락(逍遙湛樂)[리행소챙가 28 페이지 / 전적]

마음 내키는 대로 슬슬 거닐며 다님.

소요대[의향소창가 15 페이지 / 전적]

누정의 이름인 듯.

소요대[리행소챙가 8 페이지 / 전적]

누정의 이름인 듯.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