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요자재(逍遙自在)[교몽가 3 페이지 / 전적]

소요(逍遙)는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소요편(逍遙篇)을 의논할 제[가야희인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소요편」은『장자(莊子)』의 한 편명임. 왕희지가 지둔(支遁)선사를 만나 「소요편」에 대해 논의했을 때, 지둔의 견해에 감동하여 돌아가려 하지 않았던 일화를 가리킴.

소용항[석천집(石川集二-二)2-2 124 페이지 / 전적]

골짜기 이름이다.

소우(小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7 페이지 / 전적]

「小友」-唐書 李泌傳에「泌이 幼詩에 甚히 聰慧하니 張九齡이 항상 臥內로 끌어들여 小友라 불렀다」라 하였음.

소우疎雨[ 1 페이지 / ]

성근 비.

소우疎雨[ 1 페이지 / ]

드문 드문 떨어지는 빗소리.

소원 성취(所願成就)[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바라던 바를 이루는 것.

소원(䟽遠)[혼례가(婚禮歌) 6 페이지 / 전적]

먼 것.

소원냉대(疎遠冷待)[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소원하게 되어 쌀쌀하게 대우함.

소원박대(疎遠薄待)[명륜가(明倫歌) 57 페이지 / 전적]

사이가 멀어져 야박하게 대우함.

소원성취(所願成就)[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바라고 원하는 일이 이루어짐.

소원성취(所願成就)[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바라고 원하는 일이 이루어짐.

소원성취(所願成就)[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6 페이지 / 전적]

원하던 바를 이룸.

소월동령(素月東嶺)[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3 페이지 / 전적]

흰 달이 떠오르는 동쪽의 고개.

소월동령(素月東嶺)[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하얗게 달이 비친 동쪽 고개.

소월동령(素月東嶺)[차운 4 페이지 / 전적]

밝은 달이 동쪽 언덕에 떠오름.

소월동정(素月洞庭)[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얗게 달이 비친 동산.

소위(所爲)[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①하는 일, 또는 한 일 ②소행(所行).

소위통정(所謂通情)[흥비가 4 페이지 / 전적]

소위 다정스럽게 하는 말이.

소유[석천집(石川集二-五)2-5 40 페이지 / 전적]

소부(巢父)와 허유(許由)를 일컫는데 두 사람 다 요(堯) 임금 때의 벼슬을 사양했던 고사(高士)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