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소재(蘇齋)[송강집(松江集三)3 81 페이지 / 전적]
노수신(盧守愼)의 호(號).
소저(小姐)[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1 페이지 / 전적]
아직 시집 가지 않은 여자아이를 부를 때 쓰는 말.
소전(素筌)[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서예가 손재형(孫在馨, 1903~1981)의 호. 자는 명보(明甫). 8ㆍ15 광복 후 국전(國展) 심사위원과 운영위원으로 활약하였고, 소전체를 개발하여 서예 발전에 공헌함. 저서에 『팔마유풍(八馬遺風)』이 있음.
소전(素筌)[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서예가 손재형(孫在馨, 1903~1981)의 호. 자는 명보(明甫). 8ㆍ15 광복 후 국전(國展) 심사위원과 운영위원으로 활약하였고, 소전체를 개발하여 서예 발전에 공헌함. 저서에 『팔마유풍(八馬遺風)』이 있음.
소점(所占)[거창가라 5 페이지 / 전적]
무학이 (한양을 도읍지로) 점찍은 바로.
소점(所占)[아림가(娥林歌) 5 페이지 / 전적]
무학이 (한양을 도읍지로) 점찍은 바로.
소정小亭[ 1 페이지 / ]
작은 정자. 소쇄원의 대봉대待鳳臺 위에 세워진 소좨정瀟灑亭을 말함.
소정蘇亭[ 1 페이지 / ]
농부들이 쉬기 위해 만든 초막 비슷한 정자.
소정방(蘇定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2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장군(595~667). 이름은 열(烈). 정방은 자(字). 현경(顯慶) 5년(660)에 나당(羅唐) 연합군의 대총관으로서 13만의 당군을 거느리고 백제의 사비성을 함락하고, 의자왕과 태자 융(隆)을 사로잡았다. 661년에는 평양성을 포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소제(小弟)[사향곡(향곡) 6 페이지 / 전적]
어린 동생.여기서는 시누이인 작자 자신을 일컬음.
소제(掃除)[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청소(淸掃).
소제(掃除)[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청소(淸掃).
소제선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昭宣」- 昭帝 宣帝의 合稱임.
소조[석천집(石川集二-五)2-5 88 페이지 / 전적]
소하(簫何)와 조참(曹參)을 말하니 한고조 때의 공신(功臣) 여기서는 벼슬한 사람들의 총칭
소조(蕭條)[의향소창가 10 페이지 / 전적]
호젓하고 쓸쓸함.
소조(蕭條)[리행소챙가 5 페이지 / 전적]
호젓하고 쓸쓸함.
소조(蕭條)하미[복션화음록 5 페이지 / 전적]
쓸쓸함이.
소조막심(蕭條莫甚)[한흥가라 79 페이지 / 전적]
쓸쓸한 분위기가 대단히 심함.
소조막심(蕭條莫甚)[한흥가라 78 페이지 / 전적]
쓸쓸한 분위기가 대단히 심함.
소조막심(蕭條莫甚)[한흥가라 78 페이지 / 전적]
쓸쓸한 분위기가 대단히 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