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소자첨(蘇子瞻)[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 때의 문인 소동파(蘇東坡)를 말함.
소자첨(蘇子瞻)[칠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의 문장가 소식(蘇軾)의 자(字).
소자첨(蘇子瞻)[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송(宋)나라 때의 문인 소동파(蘇東坡, 1036-1101)을 말함.
소자첨(蘇子瞻)[신힁가라 18 페이지 / 전적]
소동파(蘇東坡). 북송의 시인ㆍ산문작가ㆍ예술가ㆍ정치가. 본명은 소식(苏軾), 자는 자첨(子瞻). 동파는 그의 호로 동파거사(东坡居士)에서 따온 별칭임. 아버지 소순(苏洵), 동생 소철(苏轍)과 함께 3소(三苏)라고 일컬어지며, 이들은 모두 당송8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함.
소자첨(蘇子瞻)[소상팔경가 26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때 문인 소동파(蘇東坡)를 말함.
소자첨(蘇子瞻)[청춘사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 때 문인 소동파(蘇東坡)를 말함.
소자첨(蘇子瞻)[선유가라 7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때 문인 소동파(蘇東坡)를 말함.
소자첨(蘇子瞻)[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소식(蘇軾). 중국 북송의 문인(1036~1101).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하였다. 작품에 <적벽부>, 저서에 '동파전집(東坡全集)' 따위가 있다.
소자첨(蘇子瞻)[별한가 35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문장가 소식(蘇軾),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과 뜻이 맞지 않아 황주(黃州)로 좌천되어 동파(東坡)라 자호했으며 철종(哲宗) 때 소환되어 한림학사,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음. <적벽부>를 지었음.
소작小酌[ 1 페이지 / ]
술 한 잔하다.
소장(少長)이 함집(咸集)[화전가1 5 페이지 / 전적]
젊은이 늙은이가 모두 모임.
소장(少長)이 함집(咸集)[화전가2 5 페이지 / 전적]
젊은이 늙은이가 모두 모임.
소장(所藏)[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을 자신의 소유물로 간직하여 둠. 또는 그 물건.
소장(消長)[신자가(信字歌) 9 페이지 / 전적]
쇠하여 사라짐과 성하여 자라남.
소장(蘇張)[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중엽의 유세가인 소진(蘇秦)과 장의(張儀). 소진이 일개 서생 출신으로 지모변설로써 공명부귀를 얻어 그 이름을 천하에 떨쳤기 때문에 진나라를 위해 연횡책을 썼던 장의와 함께 전국시대 책사의 제1인자로 병칭되고 있음.
소장기시(少壯幾時)[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젊고 장대한 시기는 짧음.
소장기시(少壯幾時)[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젊고 장대한 시기는 짧음.
소장지화(蕭墻之禍)[근농가(勤農歌) 6 페이지 / 전적]
재앙은 궁궐이나 가정 안에서 일어난다는 뜻으로
소장지화(蕭墻之禍)[경세가(警世歌) 2 페이지 / 전적]
재앙은 궁궐이나 가정 안에서 일어난다는 뜻으로
소재(所在)[통륜가(通倫歌) 7 페이지 / 전적]
있는 곳.있는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