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소유(小兪)[통륜가(通倫歌) 11 페이지 / 전적]
소유(小愈)의 잘못.병이 점점 낫는 것.
소유(小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1 페이지 / 전적]
「小有」―小有天의 畧稱임.茅君內傳에『大天의 內에 三十六個所의 洞이 있는데 第一은 王屋山의 洞으로 周圍가 萬里이며 이름은 「小有淸虗之天」이라한다』했다.杜甫詩에「萬古仇池穴潜通小有天」의 句가 있음.
소유안상(所遊安常)[사친가(事親歌) 37 페이지 / 전적]
노는 곳(가는 장소)이 편안하고 떳떳한 것.
소유안상(所遊安常)[자직가(子職歌) 2 페이지 / 전적]
노는 곳(가는 장소)이 편안하고 떳떳한 것.
소윤(小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 13대 명종(明宗)의 외숙인 윤 원로(尹元老)ㆍ윤 원형(尹元衡)을 중심(中心)한 그 일파.
소융(昭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4 페이지 / 전적]
光融과 같은 말임. 詩經 大雅 旣주醉에 「昭明有融」이란 글구가 있고, 杜甫 投贈哥舒開府翰 二十韻詩에 「契合動昭融」이 있음.
소읍(小邑)[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5 페이지 / 전적]
작은 고을.
소의간식(宵衣旰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7 페이지 / 전적]
「宵衣旰食」-略稱하여「宵旴」이라고도 하는데 하늘이 밝기 전에 옷을 입고 날이 저물어서야 식사를 한다는 말로 천자(天子)가 政事에 부지런함을 이른 것임。唐書劉蕡傳에 「任賢惕慮宵衣旴食」이라 하였음。
소의간식(霄衣旿食)[사미인곡 5 페이지 / 전적]
날이 밝기 전에 옷을 입고, 해가 진 후에 식사를 한다는 뜻으로, 군주가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정사에 골몰함을 이르는 말.
소의현상(素衣玄裳)[금강산유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흰 저고리와 검은 치마.
소이상[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85 페이지 / 전적]
양곡(暘谷) 소세양(蘇世讓)이다.
소이색도(宵爾索綯)[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밤에는 새끼를 꼰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소이색도(宵爾索綯)[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밤에는 새끼를 꼰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소이소아(笑爾笑我)[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6 페이지 / 전적]
너도 웃고, 나도 웃는다.
소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21 페이지 / 전적]
「小人怨汝」-書經 無逸에 「小人怨汝詈汝 皇自敬德 厥愆曰朕之愆」이라 하였음。
소인(小人)[한양가라 37 페이지 / 전적]
도량이 좁고 간사한 사람.
소인(小人)[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사림파 세력을 탄압한 훈구파(勳舊派) 세력을 말한다.
소인(小人)[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분이 낮은 사람이 신분이 높은 사람을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가리키던 말이나 여기서는 도량 좁고 간사한 사람을 뜻한다.
소인(小人)[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량이 좁고 간사한 사람.
소인간세(小人奸細)[명륜가(明倫歌) 48 페이지 / 전적]
간사한 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