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자(小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小子有造」―詩經 大雅 思齊에 「肆成人有德 小子有造」라 했는데 이는 文王의 人才成就를 노래한 것임.

소자(小者)[유례가(幼禮歌) 5 페이지 / 전적]

나이가 젊은 사람.

소자(少者)[유덕가(幼德歌) 3 페이지 / 전적]

나이가 젊은 사람.

소자(少者)는 사장(事長)하며[분별가(分別歌) 4 페이지 / 전적]

젊은이가 어른을 섬기며.

소자(少者)는 집상시좌(執牀侍坐)하며[사친가(事親歌) 33 페이지 / 전적]

소자는 침상을 받들고 모셔 앉으며.

소자경(蘇子卿)[백발가 5 페이지 / 전적]

전한의 충신 소무(蘇武).

소자경(蘇子卿)[석천집(石川集二-四)2-4 113 페이지 / 전적]

中國 漢代의 忠臣 蘇武의 字.蘇武는 匈奴에게 포로가 되었으나 끝까지 항복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음.

소자경(蘇子卿)[자치가 25 페이지 / 전적]

전한시대의 충신인 소무(蘇武)를 가리킴.

소자경(蘇子卿)[연행별곡(연별곡) 27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한나라의 공신.자는 자경(子卿).한나라 초에 중랑장이 되어 흉노에 사신으로 갔을 때, 선우가 그를 항복시키려 하였으나 굴하지 않고 온갖 고초를 겪다가 19년 만에 돌아왔음.

소자첨(蘇子瞻)[원유가 5 페이지 / 전적]

소식(軾)의 자(字). 당송 팔대가의 일인.

소자첨(蘇子瞻)[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나라의 소식(蘇軾)을 가리킴. 소식(蘇軾) :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 아버지 순(洵)과 아우 철(轍)과 함께 삼소(三蘇)라고 불림. 당송8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임.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하였음. 글 가운데 특히 양자강 을 유람하며 옛 적벽(赤壁) 싸움을 회상하여 지었다는 <적벽부(赤壁賦)>가 유명함. 적벽강(赤壁江) : 중국 호북성에 있는 양자강(揚子江) 남쪽 강가를 이르는 말.

소자첨(蘇子瞻)[거창가 10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문장가 소식(蘇軾).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소순의 장자로서 아버지와 동생과 함께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과 뜻이 맞지 않아 황주(黃州)로 좌천되어 동파라 자호했으며, 철종(哲宗) 때 소환되어 한림학사,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음.

소자첨(蘇子瞻)[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소식(蘇軾). 송나라 제1의 시인이며, 문장에 있어서도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대표작인 <적벽부(赤壁賦)>는 불후의 명작으로 널리 애창되고 있다.

소자첨(蘇子瞻)[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 때의 문인 소동파(蘇東坡).

소자첨(蘇子瞻)[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 때의 문인 소동파(蘇東坡)를 말함.

소자첨(蘇子瞻)[환행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소식(蘇軾, 1037년~1101년).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 자(字)는 자첨(子瞻)이고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였음. 흔히 소동파(蘇東坡)라고 부름. 시(詩),사(詞),부(賦),산문(散文) 등 모두에 능해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힘.

소자첨(蘇子瞻)[환행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소식(蘇軾, 1037년~1101년).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 자(字)는 자첨(子瞻)이고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였음. 흔히 소동파(蘇東坡)라고 부름. 시(詩),사(詞),부(賦),산문(散文) 등 모두에 능해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힘.

소자첨(蘇子瞻)[거창가 10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문장가 소식(蘇軾).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소순의 장자로서 아버지와 동생과 함께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과 뜻이 맞지 않아 황주(黃州)로 좌천되어 동파라 자호했으며, 철종(哲宗) 때 소환되어 한림학사,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음.

소자첨(蘇子瞻)[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소식(蘇軾). 송나라 제1의 시인이며, 문장에 있어서도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대표작인 <적벽부(赤壁賦)>는 불후의 명작으로 널리 애창되고 있다.

소자첨(蘇子瞻)[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 때의 문인 소동파(蘇東坡).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