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지(燒紙)[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부정(不淨)을 없애고 신에게 소원을 빌기 위하여 흰 종이를 태워 공중으로 올리는 일.

소지(燒紙)[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3 페이지 / 전적]

신령(神靈) 앞에서 비는 뜻으로 희고 얇은 종이를 불살라서 공중으로 올리는 일, 또는 그 종이.

소지(燒紙)[서가여래가사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령 앞에서 비는 뜻으로 얇은 종이를 불살라서 공중으로 올리는 일. 또, 그 종이.

소지(燒紙)[서가여래가사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령 앞에서 비는 뜻으로 얇은 종이를 불살라서 공중으로 올리는 일. 또, 그 종이.

소지(素地)[벽천가 31 페이지 / 전적]

본래의 바탕.

소지(訴紙)[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글로 써서 하소연함.

소지왕(炤智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8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21대 왕(?~500).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었고, 경주에 시장을 설치하였다. 백제와는 혼인 동맹을 맺고, 고구려와는 여러 번 싸웠다.

소진 장의(蘇秦․張儀)[규중여자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소진과 장의. 말을 잘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의 謀士(모사) 소진, 장의처럼 言辯(언변)이 좋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소진(蘇秦)[자책가(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의 사람. 산동(山東)의 6국의 합종(合縱)을 설득하여 성공한 책사(策 士)임. 후에 장의(張儀)에 의하여 합종의 약속이 무너져 암살되었음.

소진(蘇秦)[로인가 2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종횡가(縱橫家).

소진(蘇秦)[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국 시대(全國時代)의 책사(策士). 합종설(合從說)을 주창하여 한(韓)•위(魏) •조(趙)•연(燕)•초(楚)•제(齊)의 육국(六國)을 합종(合從)하여 진(秦)나라에 대항케 하여 스스로 육국의 재상이 되었음.

소진(蘇秦)[신힁가라 1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全國時代)의 책사(策士). 합종설(合從說)을 주창하여 한(韓)•위(魏) •조(趙)•연(燕)•초(楚)•제(齊)의 육국(六國)을 합종(合從)하여 진(秦)나라에 대항케 하여 스스로 육국의 재상이 되었음.

소진(蘇秦)[춘몽가(츈몽가)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의 모사.소진의 주선으로 진나라에서 벼슬살이를 하게 되어 혜문왕 때 재상이 됨.연횡책을 주창하면서, 위 · 조 · 한나라 등 동서로 잇닿은 6국을 설득, 진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동맹관계를 맺게 함.

소진(蘇秦)[청춘사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국시대 때 책사(策士)로 합종설(合從說)을 주장함.

소진(蘇秦)[거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의 유세가(遊說家)(?~?).진(秦)에 대항하여 산둥(山東)의 6국인 연(燕), 조(趙), 한(韓), 위(魏), 제(齊), 초(楚)의 합종(合從)을 설득하여 성공했다.

소진(蘇秦)[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의 유세가(遊說家)(?~?). 진(秦)에 대항하여 산둥(山東)의 6국인 연(燕), 조(趙), 한(韓), 위(魏), 제(齊), 초(楚)의 합종(合從)을 설득하여 성공했다.

소진(蘇秦)[녁대가(녁가) 3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全國時代)의 책사(策士). 합종설(合從說)을 주창하여 한(韓)․위(魏)․조(趙)․연(燕)․초(楚)․제(齊)의 육국(六國)을 합종(合從)하여 진(秦)나라에 대항케 하여 스스로 육국의 재상이 되었음.

소진(蘇秦)[춘몽가(츈몽가)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중엽의 유세가.소진이 일개 서생 출신으로 지모변설로써 공명부귀를 얻어 그 이름을 천하에 떨쳤기 때문에 진나라를 위해 연형책을 썼던 장의와 함께 전국시대 책사의 제1인자로 병칭됨.그의 동생 소대, 소여도 역시 유세가로서 알려짐.

소진장((蘇秦張)[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를 말함. 소진은 중국 전국(戰國)시대의 책사(策士).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유세(遊說)하였고, 연(燕)·조(趙)나라 등 육국(六國)을 합종(合從)하여 진(秦)에 대항하였으며, 후에 육국의 재상이 되었음. 장의는 중국 전국시대의 변론가(辯論家)로, 소진과 함께 귀곡(鬼谷)선생에게 수학하고, 연횡책(連衡策)을 육국에 부르짖었으며, 후에 진나라의 대신(大臣)이 되었음.

소진장((蘇秦張)[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를 말함. 소진은 중국 전국(戰國)시대의 책사(策士).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유세(遊說)하였고, 연(燕)·조(趙)나라 등 육국(六國)을 합종(合從)하여 진(秦)에 대항하였으며, 후에 육국의 재상이 되었음. 장의는 중국 전국시대의 변론가(辯論家)로, 소진과 함께 귀곡(鬼谷)선생에게 수학하고, 연횡책(連衡策)을 육국에 부르짖었으며, 후에 진나라의 대신(大臣)이 되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