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상강(瀟湘江)[상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의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류하는 곳. 이곳에서 순임금의 두 부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순임금의 죽음을 애도하며 물에 빠져 자결하였음.

소상강(瀟湘江)[회츈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의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류하는 곳. 이곳에서 순임금의 두 부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순임금의 죽음을 애도하며 물에 빠져 자결하였음.

소상국(蕭相國)[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한 대(漢代) 삼걸(三傑)의 하나인 소하(蕭何).고조(高祖)를 도와 천하를 다스리고 찬후(酇侯)가 됨.한나라의 율령을 주로 그가 제정했음.

소상국(蕭相國)[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한 대(漢代) 삼걸(三傑)의 하나인 소하(蕭何). 고조(高祖)를 도와 천하를 다스리고 찬후(酇侯)가 됨. 한나라의 율령을 주로 그가 제정했음.

소상남반(瀟湘南畔)[사미인곡 7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에 있는 소수와 상강의 남쪽 기슭을 말하는데, 따뜻하고 경치가 좋기로 유명함. 여기에서는 작자가 머물고 있는 남녘의 창평.

소상동정(瀟湘洞庭)[대동가(동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소상강 동정호.

소상반죽(瀟湘斑竹)의 고사[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순 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행하다 창오(蒼梧)에서 죽어 구의산(九疑山)에 묻혔는데, 순 임금의 두 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뒤늦게 그 죽음을 알고 상심하여 소상강에서 투신하여 죽었다고 함. 이때 아황과 여영이 흘린 상심의 눈물이 대나무에 뿌려져 얼룩이 졌는데[斑竹] 이를 ‘소상반죽’이라 함. 소수와 상수는 모두 양자강의 지류로서 강 중류에 있는 동정호(洞庭湖)로 흘러드는데, 그 일대의 경치가 매우 훌륭하여 예로부터 ‘소상팔경(瀟湘八景)’이라는 말이 생겨났음.

소상반죽(瀟湘斑竹)의 고사[봉션화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순 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행하다 창오(蒼梧)에서 죽어 구의산(九疑山)에 묻혔는데, 순 임금의 두 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뒤늦게 그 죽음을 알고 상심하여 소상강에서 투신하여 죽었다고 함. 이때 아황과 여영이 흘린 상심의 눈물이 대나무에 뿌려져 얼룩이 졌는데[斑竹] 이를 ‘소상반죽’이라 함. 소수와 상수는 모두 양자강의 지류로서 강 중류에 있는 동정호(洞庭湖)로 흘러드는데, 그 일대의 경치가 매우 훌륭하여 예로부터 ‘소상팔경(瀟湘八景)’이라는 말이 생겨났음.

소상서우(瀟湘西雨)[초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원래 소상야우(瀟湘夜雨), 즉 소상강의 밤비.

소상야우(瀟湘夜雨)[소상팔경가 28 페이지 / 전적]

소상강에서 밤에 내리는 비.

소상야우지곡[석천집(石川集二-二)2-2 105 페이지 / 전적]

청련 이후백(1520-1578)의 문집인 <<청련선생집>> 권1 부록 가사(歌詞)조에 <소상팔경가(瀟湘八景歌)> 8수가 실려 있고 ‘15세 때에 지었다.‘는 주가 붙어 있는데, 이 절구는 이 연작시조 가운데 첫수를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절구 아래에 실린 다른 절구 8수는 <소상팔경가>를 그대로 번역한 것이 아니라, 소재와 분위기만을 빌려 다시 지은 것들이다.

소상우(瀟湘雨)[연행별곡(연별곡) 29 페이지 / 전적]

동정호 남쪽에 있는 소상강(瀟湘江)에 내리는 비.

소상장사(瀟湘長沙)[팔도안희가 12 페이지 / 전적]

소상은 중국(中國)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의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그 부근(附近)에는 경치(景致)가 아름다운 소상(瀟湘) 팔경이 있으며, 장사는 중국(中國) 호남성(湖南省)의 성도(省都)로 소상강(瀟湘江)이 흘러드는 중국의 남쪽을 일컫는다.

소상팔경(瀟湘八景)[옥산가라 51 페이지 / 전적]

소상강 주변의 8경. 소상야우(瀟湘夜雨) · 동정추월(洞庭秋月) · 원포귀범(遠浦歸帆) · 평사낙안(平沙落雁) · 황릉애원(黃陵哀怨) · 어촌낙조(漁村落照) · 강천모설(江天暮雪) · 산시청람(山市晴嵐).

소상팔경(瀟湘八景)[춘몽가(츈몽가) 29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오나라와 초나라.

소상팔경(瀟湘八景)[춘몽가(츈몽가) 29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수화의 화제(畵題).소상 땅의 여덟가지 승경(勝景)을 고른 것으로, 산시청람(山市晴嵐), 어촌석조(漁村夕照), 원포귀범(遠浦歸帆), 소상야우(瀟湘夜雨), 연사만종(煙寺晩鍾), 동정추월(洞底秋月), 평사낙안(平沙落雁), 강천모설(江天暮雪)을 듬.북송 말의 문인화가 송적(宋迪)이 최초로 그렸다는 설이 있음.

소상하사등한회(瀟湘何事等閑回) 수벽사명양안태(水碧沙明兩岸笞)[소상팔경가 29 페이지 / 전적]

소상의 아름다움 어찌 두고 돌아올까 푸른 물 흰 모래 이끼 더욱 푸르네.중국 당나라 때 시인 전기(錢起)의 <귀안(歸雁)>에 나오는 구절.

소상하사등한회(瀟湘何事等閑廻)[구쟉가 14 페이지 / 전적]

소상강에 무슨 일로 한가로이 떠도는가.

소생(所生)[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태어남.

소생(邵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9 페이지 / 전적]

「邵生瓜」-所平은 秦나라 廣陵人인데 東陵侯의 封을 받았다 秦이 亡한 뒤에 長安城 동쪽에서 隱居種瓜하여 그 瓜가 심히 아름다우니 詩人이 東陵瓜라 일렀다. 또 靑門瓜라고도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