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서[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일본 장수 소서행장(小西行長)을 말함.

소서(小暑) 대서(大暑)[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5 페이지 / 전적]

일년 24절후의 하나. 양력으로 7월 7일경임. 일년 24절후의 하나. 양력 7월 23일경에 듦. 일년 중 가장 더운 때임.

소서(少西)[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약칭. 임진왜란 참전 당시 왜군 제1진 사령관. 정발 장군이 지키는 부산포성을 함락하고 동래성을 함락시켰으며, 이후 일본군의 선봉장이 되어 평양성을 함락하였다

소서(少西)[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약칭. 임진왜란 참전 당시 왜군 제1진 사령관. 정발 장군이 지키는 부산포성을 함락하고 동래성을 함락시켰으며, 이후 일본군의 선봉장이 되어 평양성을 함락하였다

소서(少西)[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약칭. 임진왜란 참전 당시 왜군 제1진 사령관. 정발 장군이 지키는 부산포성을 함락하고 동래성을 함락시켰으며, 이후 일본군의 선봉장이 되어 평양성을 함락하였다

소서(少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있었던, 서인 가운데 이귀, 장유 등의 소장파를 중심으로 한 분파. 인조 때 공서(功西)의 수령인 김유에 반발하고 갈려 나왔다.

소서(消暑)[시절가 27 페이지 / 전적]

더위를 가시게 함.

소서(素書)[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장양에게 전해준 황석공의 책으로 진나라가 난리 중일 때, 장양의 무덤을 발견하여 옥침 속에서 얻게 되었다고 한다.모두 1336자로 이루어져 있다.

소서본들[벽천가 18 페이지 / 전적]

겪어본 들'의 뜻인 듯.

소서비(小西飛)[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45 페이지 / 전적]

임란 당시 강화를 담당했던 일본측 사람.

소서비(小西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나이토 조안(일본어

소서행장(小西行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5 페이지 / 전적]

고니시 유키나가. 일본의 무장(?~1600). 임진왜란 때에 선봉장으로 조선에 출병하여 평양까지 침공하였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가 죽은 뒤에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와 싸우다 패하여 살해되었다.

소서행장(所西行長)[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50 페이지 / 전적]

고니시 유기나가인데 임란 때 18,700명을 데리고 쳐들어왔다.

소선(蘇仙) 적벽(赤壁)[성산별곡 9 페이지 / 전적]

‘소선’은 송나라의 문인 소동파(蘇東坡). ‘적벽’은 소동파가 지은 유명한 글 <적벽부(赤壁賦)>를 일컬음.

소설(掃雪)[자치가라 14 페이지 / 두루마리]

눈을 치운다는 뜻이나 여기서는 없어진다는 뜻임.

소섭[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소서행장(小西行長)을 다르게 부르는 표현으로 보임.

소세(梳洗)[북쳔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빗고 얼굴을 씻음.

소세(梳洗)[붕우들아춘회굑 3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를 빗고 낯을 씻는 일.

소세(梳洗)[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머리를 빚고 낯을 씻음.

소세(梳洗)[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머리를 빚고 낯을 씻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