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소습(所習)[축산별곡 6 페이지 / 전적]
습관처럼 뛰쳐 오르다.
소시절(少時節)[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젊은 시절.
소식 (音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8 페이지 / 전적]
「音塵」- 消息과 같은 말임. 陵機賦에「絶音塵於江介 託遺響乎洛湄」라는 구절이 있음.
소식(消息)[천황이복강어환과고독가(天皇이福降於鰥寡孤獨歌) 5 페이지 / 전적]
①천지(天地) 시운(時運)이 돌고 돌아 자꾸 변화(變化)함. 일월(日月)의 내왕(來往). 때의 변천(變遷). 영고(榮枯)와 성쇠(盛衰). 풍신(風信) ②안부(安否) 상황(狀況) 또는 새로이 생기는 사실(事實) 등(等)에 관(關)한 기별(奇別)이나 알림
소식(疏食)[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3 페이지 / 전적]
거친 음식을 먹음.
소식(素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3 페이지 / 전적]
「素食」―하는 일없이 祿만 받아먹는 것을 말함. 詩經 魏風 伐檀에 「彼君子兮 不素食兮」라는 句가 있음.
소식(蘇軾 1036~1101)[규중여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송의 문인으로 당송팔대가 중 한 사람.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시는 문충(文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하여 해남도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소식(蘇軾)[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1036~1101)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시호는 문충(文忠). 중국 북송의 문인. 전,후 적벽부가 있음.
소신(小臣)[한양가라 13 페이지 / 전적]
임금을 상대하여 신하를 낮추어 이르던 말로 여기서는 퉁두란이다.
소실처량(小室凄凉)[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8 페이지 / 전적]
마음이 구슬퍼질 정도로 외롭거나 쓸쓸할 정도로 작은 방.
소씨(邵氏)는 견문록(見聞錄)을 남겼다고 한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30 페이지 / 전적]
소씨는 강절 소옹(康節邵雍)의 아들인 소백온(邵伯溫)과 그의 아들인 소박(邵博)을 가리킨다. 소백온은「문견전록(聞見前錄)」을, 소박은「문견후록(聞見後錄)」을 지었기 때문에 말한 것이다
소아(宵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宵雅」―小雅와 같음. 菁莪는 詩의 章名임.
소암기재백운중(小庵奇在白雲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조그만 암자 하나 백운 중에 주웠구나.
소야방[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참모였던 소하를 이르는 말.
소양강[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소상강(瀟湘江)의 오기(誤記). 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을 아울러 이르는 이름. 부근에 경치가 아름다워 ‘소상팔경(瀟湘八景)’이라는 말이 전해져 내려옴.
소양강(昭陽江)[관동별곡 4 페이지 / 전적]
춘천에 있는 북한강 상류.
소양소음(小陽小陰)[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사상(四象)의 하나.
소양전(昭陽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1 페이지 / 전적]
「昭陽殿」 - 漢成帝 때에 趙飛燕의 女弟가 昭儀가 되어 이 殿에居했음.
소양전(昭陽殿)[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때 성제(成帝)가 건축한 궁전.
소양전(昭陽殿)[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때 성제(成帝)가 건축한 궁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