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소연(蕭然)[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호젓하고 쓸쓸하다.
소연(蕭然)[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호젓하고 쓸쓸하다.
소연(蕭然)하다[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5 페이지 / 전적]
쓸쓸하다.
소연(蕭然)하다[상사가라 3 페이지 / 전적]
호젓하고 쓸쓸하다.
소연(騷然)[리행소챙가 23 페이지 / 전적]
시끄럽고 어수선 함.
소연독좌(蕭然獨坐)[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쓸쓸히 홀로 앉음.
소연독좌(蕭然獨坐)[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쓸쓸히 홀로 앉음.
소연뭇[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소연묵객(騷然墨客). 떠들썩한 시인들. 시인묵객
소연의복(昭然衣服)[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3 페이지 / 전적]
밝고 선명한 옷.
소연의복(昭然衣服)[복션화음록 10 페이지 / 전적]
밝고 빛난 색갈의 아름다운 의복
소열(昭烈)[녁대가(녁가) 51 페이지 / 전적]
유비(劉備).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제1대 황제(161~223). 자는 현덕(玄德). 시호는 소열제(昭烈帝). 관우 ·장비와 결의형제하였으며, 삼고초려로 제갈량을 맞아들임. 220년 조비가 한나라 헌제의 양위를 받아 위의 황제가 되자, 221년 그도 제위에 올라 촉한(蜀漢)이라 정했음.
소열묘(昭烈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촉나라 황제 유비의 묘.
소열묘(昭烈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촉나라 황제 유비의 묘.
소열묘(昭烈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촉나라 황제 유비의 묘.
소열묘(昭烈廟)[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촉나라 황제 유비의 묘.
소열묘(昭烈廟)[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촉나라 황제 유비의 묘.
소열황제(昭烈皇帝)[무제(어와규중 번님내야) 3 페이지 / 두루마리]
촉한의 1대황제인 유비.
소열황제(昭烈皇帝)[의향소창가 23 페이지 / 전적]
촉한의 제1대 황제로 즉위했던 유비를 이름.
소열황제(昭烈皇帝)[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4 페이지 / 전적]
중국 촉한의 시조인 유비의 시호.
소열황제(昭烈皇帝)[조심가라 40 페이지 / 전적]
중국 촉한의 시조인 유비의 시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