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모관대(紗帽冠帶)[아림가(娥林歌) 34 페이지 / 전적]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한다.
사모관대(紗帽冠帶)[축원하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함.
사모불망(思慕不忘)[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하여 잊지 않음.
사모불망(思慕不忘)[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하여 잊지 않음.
사모암(思慕庵)[석촌별곡 7 페이지 / 전적]
작품 세주에 “서봉의 남록에 족숙 진사공이 이 누각을 세웠다(瑞鳳南鹿 族叔進士公 作此閣)”고 하였다.
사모의 길이가 여덟 길이나[석천집(石川集二-二)2-2 228 페이지 / 전적]
<<삼국지연의>>의 주인공이었던 장비가 쓰던 창이 장팔사모(丈八蛇矛)였는데, 원래 장팔(丈八)이란 한 길 여덟 자를 가리킨다.
사모풍대[무제(고하매)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사모관대(紗帽冠帶)를 말하는 듯하며, 본래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한다.
사모풍대[무제(고하매)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사모관대(紗帽冠帶)를 말하는 듯하며, 본래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한다.
사모풍대[제주여행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관대(紗帽冠帶).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함.
사목(徙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7 페이지 / 전적]
「徙木都城」― 史記 商君列傳에 『法令이 이미 갖추어졌으나 布 告는 아직 아니하고 백성들이 자기를 믿지 못할까 두려워하여 마침내 三丈의 木을 國郡市 南門에 세우고서 民을 모집하되「이 木을 北門으로 능히 옮겨놓은 자 있으면 十金을 주겠다」고 말하니 民이 괴이하게 여겨 감히 옮기는 자 없었다. 그래서 다시 말하기를 능히 옮기는 자에게는 五十金을 준다」하니 한 사람이 있어 옮기므로 선듯 五十金을 주어 속이지 않았음을 분명히 보였다』라 하였음.
사무사(思無邪), 무불경(無不敬), 단청(丹靑)[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3 페이지 / 전적]
생각에 사악함이 없는 순정(純正), 공경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 여러 가지 빛깔로 그림과 무늬를 아름답고 장엄하게 그리는 것.
사무상침독어천황씨지역(使無相侵瀆於天皇氏之域)[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천황씨의 땅에 서로 침노하고 더럽힘이 없도록 시키다.
사무이탈(思無離脫)[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에서 벗어남이 없음.
사무한신(事無閑身)[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별로 하는 일이 없는 한가한 사람.
사문(斯文)[송강집(松江集一)1 175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의 도(道)를 가리켜 이름. 論語 子穻篇에 「子畏於匡曰文王既 沒文在玆乎天之將喪斯文也」
사문(斯文)[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3 페이지 / 전적]
유도(儒道)를 가리키는 말.《論語 子罕》에 공자(孔子)는 ‘문왕 (文王)이 이미 별세하였으니, 문(文)이 이 몸에 있지 않겠는가. 하늘이 장차 이 문〔斯文〕을 없애려고 하였다면 내가 이 문에 참여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였는데, 주자(朱子)의 집주(集註)에 ‘문은 도(道)가 표면에 드러난 것이다.‘ 하였다. 이후로 유도를 대칭하는 말로 쓰였으며, 유학자를 직접 지칭하기도 한다.
사문(斯文)[옥산가라 37 페이지 / 전적]
이 학문, 이 도(道)라는 뜻으로, 유학의 도의나 문화를 이르는 말.
사문(斯文)[아림가(娥林歌) 37 페이지 / 전적]
① 이 학문, 이 도(道)라는 뜻으로, 유학의 도의나 문화를 이르는 말. ② '유학자'를 높여 이르는 말.
사문(査問)[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조사하여 캐물음.
사문(死門)[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①점술에서 팔문(八門)의 하나. 구궁(九宮)의 서남쪽에 있는 토성이 본자리가 되는 흉(凶)한 문(門). ②불교에서는 저승의 문. 죽음을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