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단지목(四端之目)[가사소리 12 페이지 / 전적]

사단은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는 네 가지 마음씨.곧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에서 우러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에서 우러나는 사양지심(辭讓之心), 지(智)에서 우러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사단칠정(四端七情)[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3 페이지 / 전적]

사단(四端)은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

사단칠정(四端七情)[고분가 24 페이지 / 전적]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사단(四端)이란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을 뜻하는 것으로

사단칠정(四端七情)[고분가 24 페이지 / 전적]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사단(四端)이란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을 뜻하는 것으로

사담(私談)[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사사로이 하는 이야기.

사담(私談)[간양되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사로이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사담(私談)[답가사라(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몰래 흉을 보며 하는 이야기.

사담(私談)[간양되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사로이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사담(私談)[답가사라(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몰래 흉을 보며 하는 이야기.

사당(沙棠)[원유가 5 페이지 / 전적]

과일나무의 일종, 혹은 옥(玉)을 이름.

사당(祠堂)[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8 페이지 / 전적]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

사대사상(事大思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9 페이지 / 전적]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좇아 의지하려는 사상.

사대오상(四大五常)[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6 페이지 / 전적]

四大는 天, 地, 君, 父. 五常은 仁, 義, 禮, 智, 信.

사대오상(四大五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4 페이지 / 전적]

네 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함을 뜻하는 것으로 사대(四大)는 천지군부(天地群部)이고, 오상(五常)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임.

사대오상(四大五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네 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함을 뜻하는 것으로 사대(四大)는 천지군부(天地群部)이고, 오상(五常)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임.

사대오상(四大五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4 페이지 / 전적]

네 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함을 뜻하는 것으로 사대(四大)는 천지군부(天地群部)이고, 오상(五常)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임.

사대오상(四大五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네 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함을 뜻하는 것으로 사대(四大)는 천지군부(天地群部)이고, 오상(五常)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임.

사대오상(四大五常)[지리산이수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네 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함이 있으니, 즉 사대(四大)는 천지군부(天地群部)요, 오상(五常)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임.

사대절(四大節)[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 뼈마디라는 뜻으로 ‘육체’를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