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고무친(四顧無親)[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
사고무친(四顧無親)[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0 페이지 / 전적]
의지할 만한 사람이 없음.
사고무친(四顧無親)[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의지할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을 이르는 말.
사고무친(四顧無親)[두껍전이라(겁젼이라) 7 페이지 / 전적]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
사고무친(四顧無親)[죽엽가(쥭엽가) 7 페이지 / 전적]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
사곡(邪曲)[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사특하게 잘못된다는 말.
사곡(邪曲)[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사특하게 잘못된다는 말.
사곡(邪曲)[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사특하게 잘못된다는 말.
사공자(四公子)[녁대가(녁가) 34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활약했던 제(齊)의 맹상군(孟嘗君), 조(趙)의 평원군(平原君), 위(魏)의 신릉군(信陵君), 초(楚)의 춘신군(春申君) 등 4명의 인물을 일컫는 말.
사과(司果)[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오위(五衛)에 둔 정육품의 군직(軍職)을 말한다.
사과사향(四果四向)[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소승불교에서 네 단계의 수행목표(向)와 그 도달경지(果)를 가리키는 말.
사관[후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향피리.
사관(仕官)[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하가 매달 초하룻날이면 상관을 뵙던 일을 뜻하는바, 여기서는 시부모 뵙는 일을 가리킴.
사관(司管)[사친가2(思親歌(二)) 11 페이지 / 전적]
일을 맡아서 관리하는 것.
사관(士官)[신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벼슬.
사관(辭官)[초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사관(辭官)[초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사관을[셕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사관(事管)을. 일을 관리하고 처리함.
사광[석천집(石川集二-二)2-2 113 페이지 / 전적]
귀가 밝았던 악사(樂師) 광(曠)을 가리킨다. <<맹자>> <이루> 상에 ‘사광처럼 귀가 밝아도 육률(六律)을 쓰지 않으면 오음(五音)을 바로잡지 못한다.‘고 했다.
사광(司光)[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北宋)의 정치가인 사마광(司馬光, 1019~1086). 자 군실(君實), 호 우부(迂夫)·우수(迂叟). 산서성(山西省) 출생으로 속수선생(涑水先生)이라고도 하며, 죽은 뒤 온국공(溫國公)에 봉해졌으므로 사마온공(司馬溫公)이라고도 함. 신종 초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은퇴하고 철종 때에 재상이 되자, 신법을 폐하고 구법(舊法)으로 통치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