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년불귀(四年不歸)[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4년 동안 돌아가지 못하다.
사념(思念)[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3 페이지 / 전적]
근심하고 염려하는 따위의 여러 가지 생각.
사념(思念)[제주여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려(思慮).여러 가지 일에 관한 깊은 생각과 근심.마음속으로 분별함.
사념(邪念)[오륜가라 40 페이지 / 전적]
올바르지 못한 그릇된 생각.
사념(邪念)[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올바르지 못한 그릇된 생각.
사노인의 풍류는 나막신으로 날았는데[석천집(石川集二-二)2-2 34 페이지 / 전적]
사령운은 나막신을 신고 산에 올라다니기를 좋아했는데, 산에 올라갈 때에는 앞축을 떼어냈고, 산에서 내려올 때에는 뒷축을 떼어냈다.
사농공고(士農工賈)[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7 페이지 / 전적]
선비, 농부, 장인, 상인 곧 나라의 온 백성
사농공상(士農工商)[호남가(湖南歌) 4 페이지 / 전적]
선비, 농부, 공상, 상인 등 모든 계급의 백성을 이르는 말. 봉건시대의 계급관념을 차례대로 이르는 말.
사농공상(士農工商)[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31 참조.
사농공상(士農工商)[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
사농공상(士農工商)[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
사농공상(士農工商)[궁월가라 10 페이지 / 전적]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
사농공상(士農工商)[호남가라 3 페이지 / 전적]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으로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는 말.
사단(事端)[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사달’의 잘못.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함.
사단(事端)[유례가(幼禮歌) 4 페이지 / 전적]
일의 실마리. 사건의 단서.
사단(四端)[송강집(松江集二)2 152 페이지 / 전적]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등을 이름. 孟子 公孫丑篇에「人之有是四端 猶其有四軆也」
사단(四端)[송강집(松江集四)4 58 페이지 / 전적]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등의 네 마음
사단(四端)[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맹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를 뜻함. 즉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에서 우러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에서 우러나는 사양지심(辭讓之心), 지(知)에서 우러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을 가리킴.
사단(四端)[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맹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를 뜻함. 즉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에서 우러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에서 우러나는 사양지심(辭讓之心), 지(知)에서 우러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을 가리킴.
사단(四端), 수오지심(羞惡之心)[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4 페이지 / 전적]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는 네 가지 마음씨. 곧, 인(仁), 의(義), 예(禮), 지(智),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착하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곧 사단(四端) 중 인(仁)을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