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군자(事君子)[어와따님요(어와님요) 2 페이지 / 전적]
군자를 섬김.
사군자(事君子)[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편을 뒷바라지 함.
사군자(四君子)[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6 페이지 / 전적]
동양화에서, 매화·난초·국화·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
사군자(士君子) 흠사(欠事)[ 1 페이지 / ]
학문이 깊고 덕행이 높은 사람. 흉이 되는 일.
사군자(士君子) 흠사(欠事)[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9 페이지 / 전적]
학문이 깊고 덕행이 높은 사람. 흉이 되는 일.
사군제법(事君諸法)[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7 페이지 / 전적]
남편을 모시는 여러 가지 법도.
사궁(四窮)[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네 가지의 궁한 처지라는 뜻으로, 늙은 홀아비와 늙은 홀어미, 부모 없는 어린이, 자식 없는 늙은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사궁(四窮)[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네 가지의 궁한 처지라는 뜻으로, 늙은 홀아비와 늙은 홀어미, 부모 없는 어린이, 자식 없는 늙은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사궁인(四窮人)[고분가 15 페이지 / 전적]
사궁(四窮)이란 네 가지의 궁한 처지라는 뜻으로, 늙은 홀아비와 늙은 홀어미, 부모 없는 어린이, 자식 없는 늙은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사궁인(四窮人)[고분가 15 페이지 / 전적]
사궁(四窮)이란 네 가지의 궁한 처지라는 뜻으로, 늙은 홀아비와 늙은 홀어미, 부모 없는 어린이, 자식 없는 늙은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사궤장(賜几杖)[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늙어서 벼슬을 물러나는 대신이나 중신에게 임금이 안석(案席)과 지팡이를 내려주던 일
사귀원(四歸元)[송강집(松江集二)2 154 페이지 / 전적]
진좌술향(辰坐戌向)에 축미득술파(丑未得戌破)를 이름.
사근사근[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생김새나 성품이 매우 상냥하고 보드라운 모양.
사근취원(捨近取遠)[명륜가(明倫歌) 38 페이지 / 전적]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것을 취한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부모와 조상을 버리고 석가모니나 예수를 취한다’는 의미.
사근취원(捨近取遠)[조심가라 35 페이지 / 전적]
가까이 있는 것은 버려두고 멀리 있는 것만 가지려고 함.
사근취원(捨近取遠)[조심가라 35 페이지 / 전적]
가까이 있는 것은 버려두고 멀리 있는 것만 가지려고 함.
사근취원(捨近取遠)[교훈가 13 페이지 / 전적]
가까운 것은 버리고 먼 것을 취한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나 차례를 바꾸어 함을 일컫는 말.
사근취원(捨近取遠)[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가까운데 있는 것은 내버려두고 먼 곳에 있는 것은 취한다는 뜻.한울님이 어디 먼 곳에 계신 것이 아니라 바로 사람들 마음에 모셔져 있으니, 허망하게 허공을 향하여 빌지 말고 가까이에서 찾으며, 가까운 것에서부터 정성을 들이라는 말.이는 곧
사근취원(捨近取遠)[창덕가2 27 페이지 / 전적]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것을 취(取)함.
사근취원(捨近取遠)[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가까운데 있는 것은 내버려두고 먼 곳에 있는 것은 취한다는 뜻.한울님이 어디 먼 곳에 계신 것이 아니라 바로 사람들 마음에 모셔져 있으니, 허망하게 허공을 향하여 빌지 말고 가까이에서 찾으며, 가까운 것에서부터 정성을 들이라는 말.이는 곧 '시천주(侍天主)'의 근거가 되는 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