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간원(司諫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삼사 가운데 임금에게 간(諫)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종 원년(1401)에 설치하여 연산군 때 없앴다가 중종 때 다시 설치하였다.

사간원(司諫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삼사(三司)의 하나. 임금에게 간(諫)하는 일을 맡아 보았음. 3대 태종(太宗) 1(1401)년에 설치(設置)하고 10대 연산군(燕山君) 때에 폐(廢)하였다가, 11대 중종(中宗) 때에 이르러 다시 베풀어 26대 고종(高宗) 31(1894)년까지 있었음.

사견(邪見)[권왕가 32 페이지 / 전적]

견(五見)의 하나. 또는, 십악(十惡)의 하나. 인과의 도리를 부정하여 선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악의 두려움도 돌아보지 않는 잘못된 견해.

사견죄(邪見罪)[권왕가 32 페이지 / 전적]

정견(正見)을 저버리고 사견에 빠져든 죄. 사견(邪見) : 앞에 든 각주 375 참조.

사경(四境)[거창가 3 페이지 / 전적]

동, 서, 남, 북 사방의 지경이나 경계.

사경(四境)[거창가 3 페이지 / 전적]

동, 서, 남, 북 사방의 지경이나 경계.

사경(四境)[거창가라 10 페이지 / 전적]

동, 서, 남, 북 사방의 지경이나 경계.

사경(四境)[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① 동, 서, 남, 북 사방의 지경이나 경계. ② 천하 또는 세계를 이르는 말.

사경(四更)[성산별곡 7 페이지 / 전적]

지금 시각으로 새벽 1시부터 3시 사이.

사경(四更)[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6 페이지 / 전적]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넷째 시각. 새벽 2시~ 4시.

사경(四更)[ 1 페이지 / ]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넷째 시각. 새벽 2시?4시.

사경(四更)[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6 페이지 / 전적]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넷째 시각. 새벽 2시?4시.

사경(四更)[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

사경(四更)[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

사경(死境)[축원하온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을 지경.

사경(死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4 페이지 / 전적]

죽을 지경.

사경야(四更夜)[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밤 1시부터 3시경.

사경야(四更夜)[자치가 9 페이지 / 전적]

한밤 1시부터 3시경.

사계(斯界)[오윤가 20 페이지 / 전적]

해당되는 분야. 또는 그런 사회.

사계(私系)[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개인적으로 잇는 바.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