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람 본성 헤치는 것, 눈앞에 닥친 재앙[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8 페이지 / 전적]

벌성지물(伐性之物)을 이름, 낙미지액(落眉之厄)을 이름.

사람과 멀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2 페이지 / 전적]

「不遠人」―中庸 十三章에 「道不遠人 人之爲道 而遠人不可以爲道」라는 대문이 있음。

사람뉘를[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 누구를.

사람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7 페이지 / 전적]

「人亡絃斷」- 伯牙와 鍾子期의 故事를 빌려 말한 것임.

사람들이 말하길 오정이[석천집(石川集二-二)2-2 142 페이지 / 전적]

다섯 개의 솥에다 각각 소. 양. 돼지. 물고기. 고라니를 담아 신에게 바치던 음식인데, 진수성찬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사랑[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0 페이지 / 전적]

사당(祠堂)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임.

사랑(舍廊)[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0 페이지 / 전적]

집의 안채와 떨어져 있는 공간으로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사랑(舍廊)[반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한옥에서, 집의 안채와 떨어져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사랑(舍廊)[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옥에서 집의 안채와 떨어져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사랑(舍廊)[허후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의 안채와 떨어져 있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사랑(舍廊)[북쳔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의 안채와 떨어져 있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사랑(舍廊)[김씨효행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의 안채와 떨어져 있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사랑양반[회경가 7 페이지 / 전적]

자신의 남편을 가리킴

사랑양반(舍廊兩班)[청년남녀훈계가 9 페이지 / 전적]

바깥양반.

사랑양반(舍廊兩班)[청년남녀훈계가 9 페이지 / 전적]

바깥양반.

사랑옵고[뎡슝샹회방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랑스럽고.

사래[그리져리구경하고 31 페이지 / 전적]

손사래.

사략(史略)[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십팔사략(十八史略)의 약칭. 중국 원나라의 증선지(曾先之)가 중국 태고(太古)로부터 송나라 말기까지의 사실(史實)을 압축하여 기록한 책.

사략(史略), 통감(通鑑), 강목(綱目), 효경(孝經)[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2 페이지 / 전적]

간략하게 쓴 역사로서, 중국 당(唐)의 두신사략(杜信史略) 30권이 있음,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준말.중국 송(宋)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영종(英宗)의 명으로 편찬한 중국의 편년서(編年書), 통감강목(通鑑綱目)의 준말. 주희(朱熹)가 지은 중국의 역사책.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강(綱)과 목(目)으로 나눈 것임, 공자(孔子)가 제자인 증자(曾子)에게 효도에 대하여 한 말을 기록한 책.

사략통감(史略通鑑)[팔도안희가 15 페이지 / 전적]

사략(史略)은 역사를 간략하게 기술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중국 원나라 때 증선지(曾先之)가 중국 태고(太古)에서 송말(宋末)까지의 사실(史實)을 압축하여 기록한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