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리지상연(事理之常然)[창덕가2 88 페이지 / 전적]
사리의 떳떳한 법칙.
사린(四隣)[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방의 이웃.
사린(四隣)[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방의 이웃.
사린(四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사방의 이웃, 사방에 이웃하여 있는 나라들.
사마 상여(司馬相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4 페이지 / 전적]
「司馬多病」―司馬相如는 ∝吃하고 消渴病이 甚하여 오래 살지 못했음. 杜甫詩에「多病馬卿無日起」라는 句가 보임.
사마(司馬)[송강집(松江集七)7 7 페이지 / 전적]
고려와 이조 때의 과거제도의 하나로 진사와 생원을 뽑는 소과(小科)를 말한다
사마(司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司馬」―進士의 別稱임.
사마(司馬)[거창가라 14 페이지 / 전적]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
사마(司馬)[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
사마(邪魔)[권왕가 41 페이지 / 전적]
불도의 수행(修行)을 방해하는 악마. 순복(順服) : 순순히 복종하는 것.
사마광(司馬光)[옥설가라 9 페이지 / 전적]
북송 때의 학자.
사마상여(司馬相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1 페이지 / 전적]
「司馬相如」―漢 成都人인에 字는 長卿이요、젊어서는 書를 좋하하고 擊劒을 배웠으며 藺相如의 사람됨을 흠모하여 相如로 이름을 하였다。武帝時에 獻賦하여 郞이 되었으며、西南의 夷에 通使하여 功이 있어 李文園令에 제수되었다。所作으로 上林、子虗、大人等의 賦가 있어、詞藻瑰麗하고 氣韻批宕하여漢代의 詞宗이 되었으며 武帝는 大人賦에 대하여「飄飄然有凌雲之氣」라 했음。
사마상여(司馬相如)[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기원전179~117)중국 전한의 문인. 탁문군과의 사랑. 대표작으로는 자허부 상림부 등이 있다.
사마상여(司馬相如)[차운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文人). 자는 장경(長卿). 사천(四川) 출신. 경제(景帝) 때 벼슬에서 물러나 후량(後粱)에 가서
사마생중(死馬生中)[심심가(尋心歌) 15 페이지 / 전적]
죽은 말을 살아있는 말로 속이는 것을 가리킴.
사마생중(死馬生中)[심심가(尋心歌) 15 페이지 / 전적]
죽은 말을 살아있는 말로 속이는 것을 가리킴.
사마소(司馬昭)[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2 페이지 / 전적]
삼국시대 위(魏)나라 사람(211~265)
사마양저(司馬穰苴)[한흥가라 81 페이지 / 전적]
전양저(田穰苴). 전국시대 제나라의 병법가. 비록 서얼(庶孼) 출신이긴 하나 병사(兵事)에 밝아 당시 재상인 안영(晏嬰)의 추천으로 장군이 되어 연(燕) 나라와 진(晉) 나라의 군사를 막게 되자 전양저는 자신의 신분이 미천한데다 갑자기 민간에서 발탁되어 장군이 되었기 때문에 대중이 복종하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경공에게 총신(寵臣)인 장고(莊賈)를 감군(監軍)으로 임명케 해달라고 한 뒤 군령(軍令)을 어긴 죄로 군법에 의해 그를 참수하여 군율(軍律)과
사마양저(司馬讓苴)[거창가 8 페이지 / 전적]
사마(司馬)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 양저(讓苴)는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군사감찰.
사마양저(司馬讓苴)[거창가 8 페이지 / 전적]
사마(司馬)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 양저(讓苴)는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군사감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