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마염(司馬炎)[역대가라(역가라) 9 페이지 / 전적]
진(晉)나라 무제(武帝) 때 온현(溫縣) 사람으로 소(昭)의 장자다. 상국(相國)인 아버지 사마소가 국정을 전횡하다가, 아들 염(炎)이 진왕을 물려받고, 위(魏)나라를 선양(禪讓)받은 것을 말한다.
사마자장(司馬子長)[팔도안희가 12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의 역사가이자
사마자장(司馬子長)[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전한(前漢) 때의 역사가 사마천(司馬遷, BC.145-BC.68)을 말하며,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史記)》를 완성하였다.
사마장경(司馬長卿)[송강집(松江集二)2 9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사람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는 장경(長卿)인데 일대(一代)의 문장가로 소갈병(消渴病)이 있었음.
사마장경(司馬長卿)[한양가라 79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람 사마상여(司馬相如)를 말한다.
사마천(司馬遷)[거창가 11 페이지 / 전적]
자는 자장(子長)이고 태사령(太史令) 사마담(司馬談)의 아들이며 전한(前漢)의 사가(史家)임. 무제(武帝) 때 흉노에게 항복한 이릉(李陵) 일족을 변호하다가 무제의 격노를 사서 궁형을 당했음. 그 뒤 중서령(中書令)이 되었고, 부친이 끝내지 못한 수사(修史)의 업을 계승하여 태사령(太史令)으로 있을 때 궁중에 비장된 도서를 마음껏 읽었으며, 궁형을 당한 뒤에는 130편의 거작『사기史記』를 완성했음.
사마천(司馬遷)[거창가 11 페이지 / 전적]
자는 자장(子長)이고 태사령(太史令) 사마담(司馬談)의 아들이며 전한(前漢)의 사가(史家)임. 무제(武帝) 때 흉노에게 항복한 이릉(李陵) 일족을 변호하다가 무제의 격노를 사서 궁형을 당했음. 그 뒤 중서령(中書令)이 되었고, 부친이 끝내지 못한 수사(修史)의 업을 계승하여 태사령(太史令)으로 있을 때 궁중에 비장된 도서를 마음껏 읽었으며, 궁형을 당한 뒤에는 130편의 거작『사기史記』를 완성했음.
사마천(司馬遷)[쳥츈상심곡(쳥츈심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기원전145~86) 섬서성 용문사람. 전한 시대의 역사가, 사기의 저자.
사마천(司馬遷)[춘몽가(츈몽가) 8 페이지 / 전적]
전한시대의 역사가이며《사기(史記)》의 저자.자는 자장(子長).무제의 태사령이 되어 사기를 집필하였고 기원전 91년《사기》를 완성.중국 최고의 역사가로 칭송됨.
사마천(司馬遷)[거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B.C.145~?B.C.86).자는 자장(子長).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다.
사마천(司馬遷)[아림가(娥林歌) 1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B.C.145~?B.C.86).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다.
사마천(司馬遷)[춘몽가(츈몽가) 8 페이지 / 전적]
전한시대의 역사가이며《사기(史記)》의 저자.자는 자장(子長).무제의 태사령이 되어 사기를 집필하였고 기원전 91년《사기》를 완성.중국 최고의 역사가로 칭송됨.
사마천이 20세가 되던해 낭중(郎中)[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황제의 시종)이 되어 무제를 수행하여 강남(江南)·산둥[山東]·허난[河南] 등의 지방을 여행하였다.
사막(孫思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2 페이지 / 전적]
「孫思邈」-唐 京兆華原人인데, 太白山에 살았으며 隋文帝時에國子博士를 제수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太宗初에 京師에 왔는데 비록 늙었으나 視聽은 오히려 聰明했으며 諫儀大夫를 제수했는데 굳이 사양하고 끝내 不仕했다. 근는 百家說을 通達하고 老莊을 善言하며 陰陽, 推步, 醫藥의 學게 精했으며 卒年이 百餘歲였음.
사망(蛇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뱀과 이무기.
사망(蛇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뱀과 이무기.
사망(蛇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뱀과 이무기.
사매[신행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해독 불가.
사면(四面)[허후전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전후좌우의 모든 방면을 이르는 말.
사면벽곡(四面壁哭)[자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사면이 벽인 곳에 통곡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