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령기치(司令旗幟)[자치가 3 페이지 / 전적]
군대의 깃발.
사례(私禮)[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1 페이지 / 전적]
비공식적으로 사사로이 차리는 인사.
사뢰 보라[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말씀을 올리다.
사룡[석천집(石川集二-二)2-2 62 페이지 / 전적]
육운(陸雲)이 순은(荀隱)과 평소에 서로 알지 못했는데, 한번은 장화(張華)와 만나 함께 앉았다. 장화가 ‘오늘 함께 만났으니, 일상적인 이야기는 하지 말자.‘고 했다. 육운이 곧 손을 쳐들면서, ‘구름 사이의 육사룡(陸士龍)‘이라고 하자, 순은이 ‘해 아래의 순명학(荀鳴鶴)‘이라고 했다. (사룡은 육운의 자이고) 명학은 순은의 자이다. -<<진서>> <육운전>
사룡(巳龍)[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7 페이지 / 전적]
동남 60도 방향.
사류(士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학문(學問)을 연구(硏究)하고 덕을 닦는 선비의 무리.
사류(射流)[별교사(별교) 5 페이지 / 두루마리]
쏘는 듯이 흘러가는 빠른 흐름.
사류망가(徙流亡家)[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가족이 흩어지고 집안이 망하는 것.
사류망가(徙流亡家)[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가족이 흩어지고 집안이 망하는 것.
사류망가(徙流亡家)[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가족이 흩어지고 집안이 망하는 것.
사륙문[팔역가(八域歌) 38 페이지 / 전적]
사륙변려문체
사륜(絲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絲綸」―王의 詔旨를 말한 것임. 禮記 緇衣에「王言如絲 其出如綸」이란 대문이 있음. 李白贈崔司戶昆季詩에「密勿草絲綸」의 句가 보임.
사률(士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2 페이지 / 전적]
「栗也」―尹 士栗을 말함인지 자세하지 않음.
사릉(思陵)[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에 있는 단종의 정비 정순왕후의 묘.
사릉(蛇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5 페이지 / 전적]
경주 오릉(慶州 五陵). 신라 초기의 왕릉으로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와 알영부인(閼英夫人), 제2대 남해왕(南解王), 제3대 유리왕(儒理王), 제5대 파사왕(婆娑王) 등 5명의 분묘라 전해짐.
사리[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에서 윷이나 모를 이르는 말.
사리[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에서 윷이나 모를 이르는 말.
사리불(舍利佛)[자책가(가) 20 페이지 / 전적]
샤리푸트라의 한자식 이름. 십육 나한의 하나. 석가의 십대 제자 중, 지혜가 가장 많은 사람.
사리사욕(私利私慾)[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3 페이지 / 전적]
사사(私事)로운 이익(利益)과 욕심(慾心).
사리지상연(事理之常然)[창덕가2 87 페이지 / 전적]
사리의 떳떳한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