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면벽곡(四面壁哭)[소상팔경가 10 페이지 / 전적]
사면이 벽인 곳에 통곡함.
사면벽곡(四面壁哭)[자치가 12 페이지 / 전적]
사면이 벽인 곳에 통곡함.
사면초가(四面楚歌)[초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사방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
사면초가(四面楚歌)[우미인가라 4 페이지 / 전적]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함.
사면초가(四面楚歌)[우미인가라 4 페이지 / 전적]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함.
사면초가(四面楚歌)[녁대가(녁가) 42 페이지 / 전적]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함.
사면춘풍(四面春風)[벌교사(벌교) 8 페이지 / 전적]
두루춘풍과 같은 뜻으로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사면팔방(四面八方)[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사방팔방.
사면팔방(四面八方)[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사면팔방(四面八方)[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사방팔방.
사면팔방(四面八方)[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방향과 모든 방면.
사명(使命)[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9 페이지 / 전적]
사신이 되어 중국에 가는 일. 송강은 계사년(1593) 5월 사은사로 중국에 갔다.
사명(司命)[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생명을 좌우할 권한을 가지는 것.
사명(司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司命」- 神의 이름임. 晋書天文志에「三台六星 兩兩而居 西近文昌二星曰上台 爲司命 主壽」라 하였음.
사명광(四明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88 페이지 / 전적]
「四明狂」-唐 賀知章의 字는 季眞인데, 開元中에 禮部에 遷職되어 集賢大學士를 兼任했으며 肅宗朝에 秘書監으로 除授했다. 晩節에 放誕하여 里巷에 嬉遊하며 四明山狂客이라 自號하고 道士가 되어 還鄕하기를 請하니 詔許하였다. 李白의 對酒憶賀監詩에『四明有狂客 風流賀季眞 長安一相見 呼我謫仙人』
사명광객[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9 페이지 / 전적]
당 (唐) 나라 시인 하지장 (賀知章)의 별호이다.
사명당(四溟堂)[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승려 유정(惟政, 1544~1610).
사명당(四溟堂)[한흥가라 107 페이지 / 전적]
유정(惟政). 조선 중기의 승려(1544~1610). 속명은 임응규(任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ㆍ송운(松雲)ㆍ종봉(鍾峯). 유정은 법명(法名)이다. 승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는 승병을 이끌고 왜군과 싸워 공을 세우고, 1604년에 사신으로 일본에 건너가 전란 때 잡혀간 3,000여 명의 포로를 구해서 돌아왔다.
사명당(四溟堂)[갑지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1544(중종 39)~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승려. 속명 임응규(任應奎), 서산대사의 제자.
사명당(四溟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유정(惟政)의 호. 조선 중기의 승려(1544~1610). 속명은 임응규(任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ㆍ송운(松雲)ㆍ종봉(鍾峯). 유정은 법명(法名)이다. 승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는 승병을 이끌고 왜군과 싸워 공을 세우고, 1604년에 사신으로 일본에 건너가 전란 때 잡혀간 3,000여 명의 포로를 구해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