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관천(貫穿)[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학문에 널리 통함을 이르는 말.

관천(貫穿)[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학문에 널리 통함을 이르는 말.

관천(貫穿)[거창가라 13 페이지 / 전적]

꿰뚫는다는 뜻으로, 학문에 널리 통함을 이르는 말.

관천(貫穿)[아림가(娥林歌) 13 페이지 / 전적]

꿰뚫는다는 뜻으로, 학문에 널리 통함을 이르는 말.

관초고묵(官綃古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 페이지 / 전적]

『官綃古墨』- 仁宗이 東官에 潜毓할 적에 墨竹을 그려 선생에게 下賜한 일이 있음.

관평(關平)[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관우(關羽)의 아들. 여러 차례 부친을 따라 출정함.

관평(關平)[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관우(關羽)의 아들. 여러 차례 부친을 따라 출정함.

관포(管鮑)[녁대가(녁가) 22 페이지 / 전적]

관중과 포숙. 둘은 춘추시대 제나라 환공을 중원(中原)의 패자(霸者)로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한 재상임.

관풍찰속(觀風察俗)[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풍속을 자세히 살펴봄.

관풍찰속(觀風察俗)[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풍속을 자세히 살펴봄.

관풍찰속(觀風察俗)[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풍속을 자세히 살펴봄.

관풍찰속(觀風察俗)[합강정가(合江亭歌) 2 페이지 / 전적]

풍속을 자세히 살펴봄.

관풍찰위(觀風察僞)[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관풍찰속(觀風察俗)으로 거짓을 밝히는 것.

관하(關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0 페이지 / 전적]

「關河」― 邊方을 말함. 史記蘓秦傳에「秦은 四塞의 나라로서 被山帶渭하여 東에는 關河가 있고 西에는 漢中이 있다」했음. 謝眺詩에「飛艎溯極浦 旌節去關河」의 句가 있음.

관하(關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2 페이지 / 전적]

「關河」- 먼 路程을 말함. 關防 河河의 合稱임.

관학유생(舘學儒生)[송강집(松江集五)5 80 페이지 / 전적]

성균관(成均舘)의 학생

관해(官海)[헌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관리의 사회. 흔히 험난한 벼슬길을 이름.

관해(官海)[헌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관리의 사회. 흔히 험난한 벼슬길을 이름.

관혁(貫革)[권왕가 21 페이지 / 전적]

과녁의 원말. 활 ․ 총 따위를 쏠 때의 표적으로 만들어 놓은 물건.

관혼상제(冠婚喪祭)[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유교에 입각하여 필요한 4가지의 기본의례로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