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관수(盥漱)[낙수가 9 페이지 / 전적]
세수와 양치질을 함.
관수(盥漱)를 마치셨으면 수건(手巾)을 드리며[사친가(事親歌) 31 페이지 / 전적]
씻기를 마치셨으면 수건을 드리며.
관수盥漱)[사친가(事親歌) 30 페이지 / 전적]
양치질하고 세수(洗手)함.
관수유술(觀水有術)[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에 나오는 구절로 ‘물을 관찰할 때는 반드시 그 물결을 바라보아야 한다. 觀水有術 必觀其瀾’에서 유래한 것임.
관수유술(觀水有術)[원시가(源時歌) 1 페이지 / 전적]
관수유술(觀水有術)[황남별곡(黃南別曲) 6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 <진심장구(盡心章句)>에 나오는 관수유술 필관기란(觀水有術 必觀其瀾)이라는 말로 물을 보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그 물결을 보아야 한다는 뜻.
관심(觀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觀心」―∝異記에『唐則天이 位에 있을 적에 한 女人이 善菩薩이라 自稱하며「人心의 所在를 女는 반드시 안다」하므로 太后는 宮中으로 불러들였다. 후에 大安和尙이 入宮하자 勅令을 내려 그 女人과 서로 만나보게하니 大安은 말하기를 「네가 觀心을 잘한다니 내 마음이 어디에 있나 시험삼아 보라」하자 대답이「스님 마음은 탑 꼭대기 방울 속에 있읍니다」라하였음. 戴∝詩에「有時燃古鼎隱几觀自心」이란 句가 보임.
관악산(冠岳山)[거창가라 5 페이지 / 전적]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사이에 있는 산.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과 함께 서울 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관악사와 연주대(戀珠臺)가 있음.높이는 629미터.
관악산(冠岳山)[아림가(娥林歌) 5 페이지 / 전적]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사이에 있는 산. 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과 함께 서울 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 관악사와 연주대(戀珠臺)가 있음. 높이는 629미터.
관억(寬抑)[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격한 감정이나 분노를 너그럽게 억제함.
관억(寬抑)[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격한 감정이나 분노를 너그럽게 억제함.
관영(貫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貫盈」- 紂의 惡이 노끈에 물건을 꿰어 그 꿰미가 이미 찬 것과 같다는 뜻임.書經 泰誓에 「商罪貫盈 天命誅之」라 하였음.
관옥(冠玉)[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6 페이지 / 전적]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옥(冠玉)[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4 페이지 / 전적]
관의 앞을 꾸미는 옥으로,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한 말.
관옥(冠玉)[뎡슝샹회방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
관옥(冠玉)[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관의 앞을 꾸미는 옥.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옥(冠玉)[칠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관의 앞을 꾸미는 옥.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옥(冠玉)[옥설가라 9 페이지 / 전적]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
관옥(冠玉)[가야희인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관(冠)의 앞을 꾸미는 옥(玉). 그 옥같이 맑고 깨끗하며 강한 느낌을 준다는 뜻에서, 잘 생기고 아름다운 사내의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옥(冠玉)[조선충효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