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관례(冠禮)[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2 페이지 / 전적]

옛날에, 남자가 성년에 이르면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던 예식.

관례(冠禮)[ 1 페이지 / ]

옛날에, 남자가 성년에 이르면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던 예식.

관례(冠禮)[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4 페이지 / 전적]

옛날에, 남자가 성년에 이르면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던 예식.

관례(冠禮)[해몽가라(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남자가 성년에 이르면 어른이 된다는 의미로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던 의례(儀禮). 유교에서는 원래 스무 살에 관례를 하고 그 후에 혼례를 하였으나 조혼이 성행하자 관례와 혼례를 겸하여 함.

관루다졍[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9 페이지 / 전적]

관류다정(灌流多情). 다정한 마음이 흐르는.

관리 면임(官吏面任)[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관직에 있는 벼슬아치나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과 공공 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관면(冠冕)[옥산가라 35 페이지 / 전적]

갓과 면류관이라는 뜻으로, 벼슬아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목(灌木)[냥신낙사가(냥신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떨기나무.

관목(灌木)[냥신낙사가(냥신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떨기나무.

관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3 페이지 / 전적]

「閉關齋潔」―易 復 大象에 『雷在地中 復 先王以 至日閉關 商旅不行』이라 했고 傳에 『先王順天道 當至日陽之始生 安靜以養之 故閉關 使商旅 不得行』이라 했음. 그리고 禮 月令에『是月也 齋戒掩身 以待陰陽之所定』이란 대문이 있음

관문(關文)[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2 페이지 / 전적]

상급 관청에서 아래 관청으로 내려 보내는 공문서

관물옹觀物翁[ 1 페이지 / ]

관물하는 늙은이. 중국 송나라의 성리학자인 요비堯泌, 또는 요윤공堯允恭 등은 호를 관물노인이라 하였다. 특히 요비는 [관물편觀物篇] 또는 [황극경세皇極經世]등을 제작한 소옹邵雍의 황극학(편파가 없고 곧고 바른 길, 또는 중국의 천자가 세운 만민의 범칙)에 조예가 깊은 학자이다.

관민(關閩)[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정주(程朱)가 여기에서 살았으므로 정주의 학을 관민의 학이라 칭함

관방도 사절하리라[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7 페이지 / 전적]

관문 방어의 뜻. 마음대로 돌아다니어 구애를 받지 않겠다는 뜻이다

관복(官服)[반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군(軍)이나 관(官)에서 지급한 제복(制服)이나 정복(正服). 여기서는 수의(囚衣)를 말함.

관북(關北)[사친가1(思親歌(一)) 10 페이지 / 전적]

마천령 북쪽 지방. 곧, 함경북도를 지방을 두루 이르는 말.

관사(官舍)[팔도가 5 페이지 / 전적]

객사(客舍).

관사(官舍)[팔도가 5 페이지 / 전적]

객사(客舍).

관사(官舍)[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관청에서 관리에게 빌려주어 살도록 지은 집.

관산(關山)[북쳔가 31 페이지 / 두루마리]

고향의 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