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관산(關山)[별한가 20 페이지 / 전적]
고향의 산. 고향.
관상(管商)[송강집(松江集一)1 115 페이지 / 전적]
관중(管仲)과 상앙(商鞅)을 이름. 공맹(孔孟)이 왕도주의(王道主義)라면 관상(管商)은 공리사상자(功利思想者)임.
관상감(觀象監)[거창가라 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예조에 속하여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기후 관측, 각루(刻漏)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세종 7년(1425)에 서운관을 고친 것으로 고종 32년(1895)에 관상소로 고쳤다.
관상감(觀象監)[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예조에 속하여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기후 관측, 각루(刻漏)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세종 7년(1425)에 서운관을 고친 것으로 고종 32년(1895)에 관상소로 고쳤다.
관새(關塞)[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국경(國境)의 중요한 지역에 구축하여 놓은 성채나 방어 시설.
관성제군(關聖帝君)[지리산이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서울 굿 성제거리에서 모시는 무속의 신.관성제군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의 왼편에서 교화를 돕는 보살. 세상의 모든 소리를 들어 알 수 있는 보살이므로 중생이 고통 가운데 열심히 이 이름을 외면 도움을 받게 된다고 함.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서가여래가사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로, 아미타불의 왼쪽에 위치하면서 세간(世間)의 음성을 듣고 그들의 괴로움을 풀어준다고 함. 이 세상을 교화할 때는 33가지의 모습으로 현신(現身)한다고 함.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서가여래가사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로, 아미타불의 왼쪽에 위치하면서 세간(世間)의 음성을 듣고 그들의 괴로움을 풀어준다고 함. 이 세상을 교화할 때는 33가지의 모습으로 현신(現身)한다고 함.
관속(官屬)[심심가(尋心歌) 2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아의 아전과 하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관속(官屬)[심심가(尋心歌) 2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아의 아전과 하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관속(官屬)[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아의 아전과 하인.
관속(官屬)[옥단춘전이라 9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아의 아전과 하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관속(官屬)[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아의 아전과 하인.
관속가지[은삭가 13 페이지 / 전적]
관솔가지. 관솔은 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의 가지나 옹이. 불이 잘 붙으므로 예전 에는 여기에 불을 붙여 등불 대신 이용하였음.
관속가지[은삭가 13 페이지 / 전적]
관솔가지. 관솔은 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의 가지나 옹이. 불이 잘 붙으므로 예전 에는 여기에 불을 붙여 등불 대신 이용하였음.
관수(官守)[신절가(臣節歌) 4 페이지 / 전적]
관리로서의 직책.
관수(盥水)를 드릴 때는 소자(少者)는 소라 들고[사친가(事親歌) 31 페이지 / 전적]
세숫물을 올릴 때에는 소자는 세숫대야를 받들고.
관수(盥漱)[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양치질하고 세수(洗手)함.
관수(盥漱)[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양치질하고 세수(洗手)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