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관저(關雎)[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9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의 부분으로 후비의 덕을 노래함.
관저(關雎)[무제(양신택졍하여) 15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 국풍(國風) 6편 중의 한 곡(曲). 내용은 문왕(文王)과 후비(后妃)의 덕을 말한 것으로 숙녀(淑女)를 얻어 군자의 도움이 될 것을 생각하는 것임.
관저(關雎)[별한가 2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 국풍(國風) 6편 중의 한 곡(曲). 내용은 문왕(文王)과 후비(后妃)의 덕을 말한 것으로 숙녀(淑女)를 얻어 군자의 도움이 될 것을 생각하는 것임.
관저삼장(関雎三章[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고전인 『시경(詩經)』 <주남편(周南篇)>에 시의 한 종류인 국풍(國風)으로 쓰인 시.
관저삼장(関雎三章[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고전인 『시경(詩經)』 <주남편(周南篇)>에 시의 한 종류인 국풍(國風)으로 쓰인 시.
관저삼장(関雎三章[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고전인 『시경(詩經)』 <주남편(周南篇)>에 시의 한 종류인 국풍(國風)으로 쓰인 시.
관저시(關雎詩)[쳥츈상심곡(쳥츈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 국풍 관저. 남녀의 아름다운 관계를 나타낸 글.
관저장(關雎章)[충행단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가 엮은 시경, 국풍 주남편에 나오는 시.
관저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8 페이지 / 전적]
「關雎篇」―詩經 周南 關雎를 말한 것인데 이 詩는 大全에「周之文王 生有聖德 又得聖女似氏 以爲之配 宮中之人 於其始至見其有幽閒貞靜之德 故作是詩」라 하였음.
관저편(關雎篇)[계녀사라 7 페이지 / 전적]
<시경>에 첫 번째로 실린 시.
관절(關節)[송강집(松江集三)3 61 페이지 / 전적]
요로(要路)에 뇌물을 보내며 청탁함을 이름. 通鑑 唐玄宗紀에「唐人相屬請爲開節」
관제방(冠帝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알 수 없는 방위. 좌청룡 우백호를 거느린 자리가 제왕의 자리이므로 관제방은 혈(穴)의 윗자리쯤이 될 것으로 생각됨.
관제방(冠帝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알 수 없는 방위. 좌청룡 우백호를 거느린 자리가 제왕의 자리이므로 관제방은 혈(穴)의 윗자리쯤이 될 것으로 생각됨.
관제방(冠帝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알 수 없는 방위. 좌청룡 우백호를 거느린 자리가 제왕의 자리이므로 관제방은 혈(穴)의 윗자리쯤이 될 것으로 생각됨.
관주(觀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4 페이지 / 전적]
「觀周」―季札은 春秋時代 吳의 公子인데 그 父가 그에게 傳位하려했으나 사양하고 받지 아니하여 延陸에 封했다. 그래서 延陸季子라 칭한다.
관주(關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關雎」― 詩經 周南의 章名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관중(棺中)[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7 페이지 / 전적]
관 속.
관중(款重)[냥신낙사가(냥신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요긴하고 중요함.
관중(款重)[냥신낙사가(냥신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요긴하고 중요함.
관중(款重)[옥산가라 26 페이지 / 전적]
요긴하고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