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관중(款重)하다[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요긴하고 중요하다는 뜻.

관중(管仲 ?~BC.645)[명륜가(明倫歌) 99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재상. 소년시절부터 평생토록 변함이 없었던 포숙아와의 깊은 우정은 ‘관포지교’라 하여 유명함.

관중(關重)[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4 페이지 / 전적]

중요한 관계가 있는 것.

관중(關重)[명륜가(明倫歌) 78 페이지 / 전적]

중대한 관계(關係)가 있음.

관중은 그릇이 작아서[석천집(石川集二-二)2-2 199 페이지 / 전적]

공자가 말했다. ‘관중의 그릇이 작구나.‘ -<<논어>> 제3 <팔일(八佾)>

관차(官差)[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관아에서 보내는 아전(衙前), 군노(軍奴), 사령(使令) 등의 관리들.

관차(官差)[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관아에서 보내는 아전(衙前), 군노(軍奴), 사령(使令) 등의 관리들.

관차(官差)[거창가라 22 페이지 / 전적]

관아에서 파견하던 군뢰(軍牢), 사령(使令) 따위의 아전.

관차(官差)[아림가(娥林歌) 23 페이지 / 전적]

관아에서 파견하던 군뢰(軍牢), 사령(使令) 따위의 아전.

관찰도(觀察道)[심심가(尋心歌) 53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33년(1896)에 행정 구역을 13도로 나눈 뒤 관찰부를 둔 각 도(道).

관찰도(觀察道)[심심가(尋心歌) 54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33년(1896)에 행정 구역을 13도로 나눈 뒤 관찰부를 둔 각 도(道).

관찰사(觀察使)[심심가(尋心歌) 26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로, 도관찰출척사를 세조 12년(1466)에 고친 것.

관찰사(觀察使)[심심가(尋心歌) 26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로, 도관찰출척사를 세조 12년(1466)에 고친 것.

관찰사(觀察使)[연행별곡(연별곡) 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로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

관찰사(觀察使)[연행별곡(연별곡) 3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관찰사(觀察使)[죽엽가(쥭엽가) 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관창(官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4 페이지 / 전적]

「官昌」― 新羅人으로 將軍 品日의 子인데 儀表가 都雅하여 젊어서 花郞이 되었다. 十六歲에 능히 말을 타고 활을 쏘므로 大監이 太宗王에게 천거하였다. 七年에 이르러 王은 唐兵과 더불어 百濟를 征伐하면서 官昌을 副將으로 삼으니 官昌은 敵

관천(貫天)[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죄와 악이 하늘까지 미침.

관천(貫天)[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죄와 악이 하늘까지 미침.

관천(貫穿)[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꿰뚫는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에 널리 통(通)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