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관잠(官箴)[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지방관리가 지방행적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기록한 책.
관장(官長)[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9 페이지 / 전적]
시골 백성이 고을 원님을 높여서 일컫던 말.
관장(官長)[자경별곡 10 페이지 / 전적]
시골 백성이 고을 원님을 높여서 일컫던 말
관장(官長)[ 1 페이지 / ]
시골 백성이 고을 원님을 높여서 일컫던 말.
관장(官長)[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7 페이지 / 전적]
시골 백성이 고을 원님을 높여서 일컫던 말.
관장(官長)[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관가의 장(長)이란 뜻으로 시골 백성이 고을의 원을 높여 이르던 말.
관장(官長)[신절가(臣節歌) 6 페이지 / 전적]
백성(百姓)이 수령(守令)을 높여 부르던 말.
관장(官長)[신도가(臣道歌) 2 페이지 / 전적]
백성(百姓)이 수령(守令)을 높여 부르던 말.
관장군(關將軍)[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무장(武將)인 관우(關羽)를 말한다. 유비,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평생 그 의를 저버리지 않은 인물로 유명하다.
관재(官災)[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관청과 관련된 재앙.
관재(官災)[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관청과 관련된 재앙.
관재(官災)[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관가의 재앙.
관재(官灾)[호남비결(湖南秘訣) 4 페이지 / 전적]
관청에서 비롯되는 재앙.또는 관아의 억압이나 착취 따위로 생기는 재앙.
관재빈빈(官灾頻頻)[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1 페이지 / 전적]
관재기 빈번하다.
관재연면(官災連綿)[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4 페이지 / 전적]
관재가 끝없이 이어진다.
관저(關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關雎」- 關關雎鳩의 畧稱인데 雎鳩는 水鳥요 關關은 雌雄의和鳴聲임. 雎鳩는 일정한 짝이 있어 서로 亂하지 아니하고 짝이 항상 함께 노닐어도 褻狎하지 아니하므로 詩人이 그「摯而有別」을 取하여 男女正家의 道를 일으켰음.
관저(關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7 페이지 / 전적]
「關雎」― 詩經 周南의 關詛章를 말한 것임. 그 詩에 「關關雎鳩在河之洲 窈窕淑女 君子好逑」라 했는데, 小序에 이르기를 「關雎 麟趾의 化는 王者의 風이라」하였음.
관저(關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關雎」-詩經 周南의 篇名인데 男女의 婚姻을 말한 詩임.
관저(關雎)[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詩經)≫ 국풍(國風) 6편 중의 한 곡(曲). 내용은 문왕(文王)과 후비(后妃)의 덕을 말한 것으로 숙녀(淑女)를 얻어 군자의 도움이 될 것을 생각하는 것임.
관저(關雎)[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詩經)≫ 국풍(國風) 6편 중의 한 곡(曲). 내용은 문왕(文王)과 후비(后妃)의 덕을 말한 것으로 숙녀(淑女)를 얻어 군자의 도움이 될 것을 생각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