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관혼상제(冠婚喪祭)[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유교에 입각하여 필요한 4가지의 기본의례로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관혼상제(冠婚喪祭)[칠여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관례(冠禮)ㆍ혼례(婚禮)ㆍ상례(喪禮)ㆍ제례(祭禮)의 네 가지 예를 두고 말함.

관홍(寬弘)[낙승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관대함. 마음이 너그럽고 큼.

관홍(寬弘)[리행소챙가 59 페이지 / 전적]

넓고 관대한 마음.

관홍(寬弘)[낙승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관대함. 마음이 너그럽고 큼.

관화(寬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2 페이지 / 전적]

「遺愛」-仁愛를 뒤에 끼쳤다는 뜻임. 左傳昭公二十年에「子産卒仲尼聞之 出涕曰 古之遺愛也」라 하였음.

관화(款話)[운청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터놓고 다정하게 이야기 함.

관회(寬懷)[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5 페이지 / 전적]

마음이 너그러워지고 풀어짐.

관회(寬懷)[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에 지닌 회포를 풂.

관회(寬懷)[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마음에 지닌 회포를 풂.

관회(寬懷)[차운 7 페이지 / 전적]

마음이 풀어지고 너그러워져 진정이 됨.

관후(寬厚)[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너그럽고 후하다.

관후(寬厚)[오륜가라 30 페이지 / 전적]

마음이 너그럽고 후덕하다.

관후(寬厚)[회경가 8 페이지 / 전적]

마음이 너그럽고 후덕함을 뜻함

관후(寬厚)[여자행신가 5 페이지 / 전적]

너그럽고 후함.

관후(寬厚)[여자행신가 5 페이지 / 전적]

너그럽고 후함.

관도리[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관자도리. 녹나무 도리. ‘도리’는 기둥과 기둥 위에 돌려 얹은 나무로 그 위에 서까래를 얹는다. 녹나무는 좋은 재목으로 정자의 건축물이 아름답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괄목상대(刮目相對)[긔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눈을 비비고 사람을 다시 봄. 학식이나 재주가 전에 비해 몰라볼 정도로 長足(장족)의 발전을 이룬 것. 주로 손아랫사람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랍게 향상된 경우를 일컬음.

괄목상대(刮目相對)[창덕가2 92 페이지 / 전적]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괄목상대(刮目相對)[창덕가2 93 페이지 / 전적]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