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괄목상대(刮目相對)[답긔슈가 8 페이지 / 전적]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괄목상대(刮目相對)[회조가 2 페이지 / 전적]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괄세[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괄시(恝視)’를 잘못 쓴 것으로, 업신여겨 하찮게 대함.
괄시(恝視)[자치가 25 페이지 / 전적]
업신여겨 하찮게 대함.
괄여울가 밥염녀[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작게 여위어질까 밥 염려. ‘괄’은 오므라진다는 뜻일 것 같음.
괄여울가 밥염녀[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작게 여위어질까 밥 염려. ‘괄’은 오므라진다는 뜻일 것 같음.
괄족(适足)[신도가(臣道歌) 7 페이지 / 전적]
빠르게 만족함.
광간(狂簡)[송강집(松江集七)7 35 페이지 / 전적]
뜻은 크고 일에는 소루하다는 말. 論語에「子曰吾黨之子狂簡斐然成章不知所以裁之」
광간(狂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8 페이지 / 전적]
「狂簡」 ― 論語 公治長篇에「吾黨之小子狂簡不知所以裁之」라 하였음
광간(狂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7 페이지 / 전적]
「狂簡」 -論語 公冶長에 「吾黨之小子 狂簡 不知所以裁之」라 하였고 그 註에 「狂簡은 뜻은 크고 일에는 畧함을」이름이요 裁는 割正의 뜻이다」라 하였음
광간(狂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狂簡」―뜻은 크고 일에는 踈略함을 이름. 論語 公冶長에「吾
광간(狂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0 페이지 / 전적]
「狂簡」-論語 公治長에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이란 대문이 있음。
광개토왕(廣開土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2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19대 왕(374~412). 이름은 담덕(談德). 고국양왕의 태자로 18세에 왕위에 올랐다. 불교를 신봉하였고, 남북으로 영토를 크게 넓혀 만주와 한강 이북을 차지하는 등 고구려의 전성시대를 이룩하였다.
광견사(狂狷士)[황남별곡(黃南別曲) 20 페이지 / 전적]
하는 짓이 너무 지나치거나 몸가짐이 소극적(消極的)인 사람에 대(對)하여 모두 극단적인 폐단(弊端)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견광(狷狂).
광경(光景)[츅친서라 6 페이지 / 전적]
눈 앞에 보이는 모양과 형태.
광경(光景)[북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눈에 보이는 자연의 모습이나 현상.
광광[친목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觀光의 잘못된 표현. 여행.
광구(廣求)[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널리 구함.
광구(廣求)[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널리 구함.
광구(廣求)[한양가라 20 페이지 / 전적]
인재(人才)를 널리 구함.